03) 성인 심폐소생술※
호흡과 심장이 멎고 4~6분이 경과하면 산소 부족으로 뇌가 손상되어 원상 회복되지 않으므로 호흡이 없으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하며,기본순서는 가슴압박(Compression) =>기도유지 (Airway) => 인공호흡(Breathing)의 C => A => B 순서이다.
1)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⑴ 반응의 확인
•환자에게 접근하기 전에 현장이 안전한지 확인한다.
•환자의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질문하면서 반응을 확인한다.
⑵ 119 신고
•반응이 없으면서 정상적인 호흡이 없으면 즉시 도움을 요청한다.
•특정인을 지목하여 119 신고와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요청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직접 119에 신고한다.
⑶맥박 및 호흡
• 맥박과 호흡의 유무 및 비정상 호흡 여부를 10초 이내에 판별한다(심정지 환자 : 무호흡 또는 비정상 호흡).
« 일반인 구조자는 맥박확인을 하지 않는다.
⑷ 가슴압박
•환자의 가슴 중앙인 가슴뼈(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구조자의 한 손의 손꿈치를 놓고 그 위에 다른 한 손을 놓고 평행하게 겹친다.
•구조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압박하기 위해,양팔의 팔꿈치를 곧게 펴서 어깨와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구조자의 어깨와 환자의 가슴이 수직이 되게 한다.
•100~120회/분의 속도로 환자의 가슴이 약 5cm (최대 6cm) 깊이로 눌릴 수 있게 체중을 실어 '깊고’,‘강하게’ 압박한다. 매 압박 시 압박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매번의 압박 직후 압박된 가슴은 원래 상태로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압박 대 이완의 시간 비율이 50대 50이 되게 한다. 단 손바닥이 환자의 가슴에서 떨어지면 안된다.
•압박 시 갈비뼈가 압박되 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인공호흡
•한 손으로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다른 한 손으로 턱 을 들어 올려 환자의 기도를 개방 시 킨다.
•기도를 개방하고 이마 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막는다.
•구조자의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에 완전히 밀착시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고 1초에 한 번씩,두 번 가슴 상승이 관찰될 정도로 숨을 불어넣는다.
« 인공호흡에 대한 자신이 없거나 거부감을 가진 경우 인공호흡 없이 가슴압박만 하는 가슴압박 소생술을 시행하도록 한다
(6)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한다.
•2인 이상의 구조자가 심폐소생술을 하는 경우 2분마다 또는 5주기(1주 기능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의 심폐소생술 후에 가슴압박 시행자를 교대해준다.
《 구조자 교대 또는 인공호흡을 시행하기 위한 가슴압박 중단은 10초 이내로 최소화한다.
2)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방법
심폐소생술 시행 중에 자동심장충격기가 도착하면 지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⑴ 전원 켜기
•자동심장충격기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뒤 전원 버튼을 누른다.
(2) 2개의 패드 부착
•환자의 상체를 노출 시 킨 다음 패드 포장을 열고 2개 의 패드를 환자의 가슴에 붙인다.
-패드 1 : 오른쪽 빗장뼈 (쇄골) 바로 아래
-패드 2 : 왼쪽 가슴 아래와 겨드랑이 중간
•각 패드의 표면에 부착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참고한다. 패드와 자동심장충격기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를 연결한다.
(3) 심장리듬분석
•"심전도 분석 놓입니다. 환자로부터 떨어지세요”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심폐소생술을 멈추고 모두 환자에게서 손을 뗀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한 경우 : "제세동이 필요합니다."라는 음성지시와 함께 자동심장충격기가 스스로 제세동 에너지를 충전 한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 없는 경우: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습니다”라는 음성지시가 나오며 즉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작하여 야 한다.
⑷ 심장충격(제세동) 실시
•심장충격이 필요한 환자인 경우에만 심장충격 버튼이 깜박이기 시작하며,깜박일 때 심장충격 버튼을 눌러 심장충격을 시행한다.
►주의사항 : 심장충격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반드시 주변 사람 및 구조자가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한 후에 실시하도록 한다.
(5)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심장충격이 필요 없거나 심장충격을 실시한 이후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작한다.
(6)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 후 반복 시행
•자동심장충격기는 2분마다 환자의 심전도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심장충격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그러므로 구조자는 119 구급대가 도착하거나 환자가 회복되어 깨어날 때까지 심폐소생술과 심장충격을 반복하여 시행한다.
•심폐소생술을 계속하던 중에 환자가 자발적으로 움직 이거나 정상적인 호흡을 하기 시작한다면,심폐소생술을 중단하고 환자의 움직임과 호흡 상태를 관찰한다.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및 기계의 표면에 사용법이 적혀 있으므로 사용 시 참고하도록 한다.
※출처: 2020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대한심폐소생협회
-한국 소방 안전원-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위소방대 및 초기대응체계 구성 • 운영 (0) | 2022.10.06 |
---|---|
소방계획의 수립 (0) | 2022.10.04 |
출혈 . 응급처치 요령 1 (0) | 2022.10.03 |
응급처치 (1) | 2022.10.03 |
비상콘센트 설비 . 소방활동설비 2 (0) | 2022.10.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