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이스라엘8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 새 내각 출범, 가자지구 통치 위한 개혁 착수 ▶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 새 내각 출범, 가자지구 통치 위한 개혁 착수 ◀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 수반이 3월 31일 무함마드 무스타파 총리가 제출한 내각 구성안을 승인하면서 PA의 새 내각이 출범했다. 아바스 수반은 취임식이 끝난 뒤 새 내각의 권한이 요르단강 서안지구, 동예루살렘, 가자지구에 적용된다고 밝혔다. 현재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 하마스를 궤멸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군사작전을 지속하고 있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전후 가자지구 점령에 반대하며 PA가 가자지구를 통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PA는 야세르 아라파트와 후임 마무드 아바스로 이어지는 장기집권 체제 속에 부정부패가 만연해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에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신뢰도 잃은 상.. 2025. 2. 6.
살레흐 알아루리 ▶ 살레흐 알아루리(Salah al-Arouri) ◀ 생전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정치국의 2인자이자 하마스 전체 서열 3위에 해당했던 인물로, 1월 2일 이스라엘의 레바논 베이루트 드론 공습으로 사망했다. 1966년 팔레인 요르단강 서안 지구 라말라 인근의 아루라에서 태어났으며, 1987년 인티파다(팔레스타인의 반( 反 )이스라엘 민중봉기 계기로 결성된 하마스에 초기 멤버로 합류했다.  1992년 헤브론 대학교에 입학해 샤리아(이슬람 율법)를 공부했으며, 이 시기 하마스의사 조직인 알카삼 여단 하부 조직을 만들었다. 같은 해 알카삼 여단을 지휘한 혐의로 이스라엘 군에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선고받았으며, 2007년 석방됐다.  그러나 석방 3개월 만에 이스라엘 군에 다시 체포되어 2010년까지 복역.. 2024. 12. 16.
알아크사 사원(Al-Aqsa Mosque) ■ 알아크사 사원(Al-Aqsa Mosque)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오는 3월 10일부터 한달간 이어지는 라마단(이슬람 최대 명절) 기간 예루살렘에 위치한 알아크샤 사원에 대한 출입 규제를 강화키로 하면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무장단체 하마스는 지난해 10월 이스라엘이 알아크사 성지를 훼손하고 있다며 이스라엘 공격의 명분으로 삼기도 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진원지인 동예루살렘에 위치한 모스크로, 8세기 초에 완공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알아크사 모스크가 있는 곳은 이스라엘 예루살렘 구시가지의 약 14만 규모의 고(高)지대 지역으로, 이슬람에서는 성소라는 이름의 「하람 알샤리프」로 불리며 유대교에서는 「성전산」으로 부른다. 이곳에는 이슬람교·유대교·기독.. 2024. 9. 23.
잔디깎기 전략(Mowing the grass strategy) ■ 잔디깎기 전략(Mowing the grass strategy) 작은 규모의 충돌이나 도발에는 지속적으로 대응하는 대신 큰 정쟁을 피하면서 안보를 유지하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응한 전략이다. 잔디의 뿌리를 뽑지는 않고 조금 자랄 때까지는 그대로 내버려 두다가 어느 정도 무성해지면 깎는다는 뜻으로, 이스라엘은 2007년부터 하마스의 작은 도발은 지켜보다가 일정 수위를 넘는다 싶으면 무력으로 대응하는 방식을 행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2007년 하마스가 가자지구를 장악한 이후 자국민 보호를 내세우며 가자지구에 대한 엄격한 봉쇄와 통제를 시작했다. 이스라엘은 무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가자지구로 들어가는 생필품 등의 물자는 물론 식수·전기까지 통제했다. 특히 가자지구를 에워싸는.. 2024. 5. 31.
유대인 정착촌 ■ 유대인 정착촌 ”12월 6일 AFP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비정부기구(NGO) 피스나우는 이스라엘 정부가 새 주택 1738채의 건설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새로 건설될 주택 중 절반은 동·서예루살렘의 경계인 그린라인을 넘어 팔레스타인인 거주 지역인 동예루살렘에 지어질 예정인데, 이는 2012년 이후 동예루살렘에서 승인된 가장 큰 프로젝트다.“ 팔레스타인 자치지역인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있는 유대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다. 1967년 3차 중동전쟁을 일으킨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영토인 서안지구와 동예루살렘을 불법 점령한 후 이 지역에 정착촌을 건설해 유대인 이주 정책을 펼쳐왔다. 정착촌 건설 목적은 주로 러시아와 에티오피아 등에서 이주해온 집 없는 유대인들을 정착시킴으로써 인구·주택·토지 문제를 해.. 2024. 5. 31.
美 가자지구 4대 원칙 ■ 美 가자지구 4대 원칙 ”미국 백악관이 11월 12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재점령은 불가하다면서 넘어서는 안 될 4대 원칙을 제시했다. 미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독립 주권국가로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고 있으나, 이스라엘은 하마스를 제거한 뒤에는 가자지구 안보를 직접 책임지겠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11월 12일 제시한 가자지구의 미래상으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재점령 불가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불가 ▷미래 테러 세력 거점으로 가자지구 활용 불가 ▷가자지구 영토 축소 불가 등의 4가지 원칙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설리번 보좌관은 팔레스타인자치정부가 가자지구를 통치해야 한다는 구상도 재확인했는데, 이는 요르단강 서안.. 2024. 5. 2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