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급 소방안전관리자

응급처치

by 안전제일무사고 2022. 10. 3.
728x90
반응형
SMALL

◆ 응급처치 개요

 

01) 응급처치의 정의 및 목적
응급처치는 가정, 직장 등에서 부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위급한 상황에 놓인 환자에게 의사의 치료가 시행되기 전에 즉각적이며 임시적으로 제공하는 처치이다. 응급처치의 목적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며, 2차적으로 오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고통과 불안을 경감시켜,차후 의사의 전문치료에 도움을 주어 회복을 빠르게 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02) 응급처치의 중요성
•긴급한환자의 생명을 유지 
•환자의 고통을 경감 
•위급한 부상부위의 응급처치로 치료기간을 단축 
•현장처치의 원활화로 의료비 절감


03) 응급처치 기본사항
1)기도확보(유지)
환자의 입 (구강) 내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이물질이 빠져나을 수 있도록 기침을 유도한다. 만약 기침을 할 수 없는 경우,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이때 눈에 보이는 이물질이라 하여 함부로 제거하려 해서는 안된다. 환자가 구토를 하는 경우,머리를 옆으로 돌려 구토물의 흡입으로 인한 질식을 예방해주어야 한다. 이물질이 제거된 후 머리를 뒤로 젖히고,턱을 위로 들어올려 기도가 개방되도록 하되 접은 옷가지를 환자 목 뒤에 대어 편안하고 안전하게 유지한다.

2) 지혈처리
사람의 체내에는 체중의 성인 7%, 소아의 8~9% 혈액이 있으며 출혈로 혈액량 감소 시 온몸이 저산소 출혈성 쇼크상태가 된다. 출혈의 원인 및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다르나,일반적으로 개인당 혈액량의 15~20% 출혈 시 생명이 위험해지고 30% 출혈 시 생명을 잃게 된다.


3) 상처보호
심한 상처로 출혈된 손상부위에 대하여 소독거즈로 응급처치하고 붕대로 드레싱하되 1차 사용한 거즈 등으로 상처를 닦는 것은 금하고 청결하게 소독된 거즈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04) 응급처치의 일반원칙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구호를 위하여 침착한 태도로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최선을 다해 보다 양호한 상태에서 의료인에게 인도할 수 있도록 다음사항을 유의하여야 한다.
•긴박한 상황에서도 구조자는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한다. 응급환자 발생 시 현장에 출동한 구조요원은 지형, 환경, 주변상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제2의 안전사고 발생 등 우려를 참고하여 구조에 전념하며 사고발생에 유념하여야 한다.
•응급처치 시 사전에 보호자 또는 당사자의 이해와 동의를 얻어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신체의 접촉등으로 인하여 성희롱과 같은 법적 문제 발생 우려가 있다
•당황하거나 흥분하지 말고 침착하게 사고의 정도와 환자의 모든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환자에게 필요이상의 움직임을 금하고 안전을 유지한다.
•응급처치와 동시에 119구조 •구급대, 경찰, 병원 등에 응급구조를 요청한다 구조 요청 시 사고위치 및 시간, 사고의 종류 및 환자상태, 부상자 수, 성별, 예측되는 위험 등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알린다.
•환자상태를 관찰하며 모든 손상을 발견하여 처치하되 불확실한 처치는 하지 않는다 의식이 있으면 직접환자와 대화하며 처치를 실시하고,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기도를 개방하고 똑바로 눕힌상태에서 환자상태를 확인하며, 보호자나 목격자와의 대화를 통해 발생상황 및 환자상태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119구급차 이용에 따른 비용징수 문제
-119구급차를 이용 시 전국 어느 곳에서나 이송거리, 환자 수 등과 관계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무료
-보건복지부의 인가를 받아 운영하는 중앙응급환자이송단 등 사설단체 또는 병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앰블런스는 일정요금 징수
► 환자이송료 : km당 요금정산(미터기 정산)

05) 응급처치의 체계도

[응급처치 체계도]

-한국소방 안전원-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