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기 점검◆
1) 소화기 적응성
소화기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적응성 있는 소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 A : 일반화재 • B : 유류화재 • C : 전기화재 • K : 주방화재 |
2) 본체 용기
본체 용기가 변형,손상 또는 부식된 경우 교체하여야 한다. 특히 생산이 중단된 가압식 소화기는 사용중 사용자가 목숨을 잃는 사망사고 발생 사례도 있으며,사용상 주의를 요한다.
[소화기 외형 점검] [부식된 가압식 소화기]
3) 누름쇠 • 레버 등의 조작장치
손잡이의 누름쇠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면 사용시 손잡이를 눌러도 소화약제가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누름쇠 변형]
4) 호스• 혼• 노즐
호스가 찢어지거나 노즐 • 혼이 파손되거나 탈락되면,찢어진 부분이나 파손된 부분으로 소화약제가 누설되어 화점으로 약제를 방출할 수 없다. 소화기의 종류 및 그 중량에 따라 호스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소화기도 있으며,이 경우 소화기 본체에 직접 노즐 또는 혼이 부착되어 있다.
[호스파손] [호스탈락] [노즐파손] [혼 파손]
5) 지시압력계
지시압력계가 녹색범위에 있어야 정상이며, 노란색(황색) 부분은 소화기 내의 압력이 부족한 것으로 소화약제를 정상적으로 방출할 수 없어 재충전 또는 소화기 교체가 필요하며,적색 부분에 있으면 과압(압력이 높음) 상태를 나타낸다.
[소화기지시압력계 불량] [소화기지시압력계 정상]
6) 소화약제
분말소화기는 분말소화약제가 굳거나 고형화된 것이 있는지 점검하여야 하며 지시압력계가 정상(녹색)범위라 하더라도 소화약제가 굳어 있다면 화재시 정상 사용이 불가능하다. 지시 압력계가 없는 이산화탄소소화기는 소화약제가 방출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화기의 전체 무게를 측정하여 소화기의 제원표에 있는 소화기의 총중량과 비교하여 소화약제방출 여부를 점검한다. 제원표의 총중량에서 측정된 소화기의 무게를 빼면 손실된 약제중량이 계산되며, 손실량이 제원표 약제중량의 5% 초과시 불량이다.
[이산화탄소소화기 무게측정] [제원표의 총중량표시]
7) 안전핀
안전핀의 탈락 여부,안전핀이 변형되어 있지 않은지 점검한다.
[안전핀의 변형]
8) 자동확산소화기 점검방법
소화기의 지시압력계 상태를 확인한다. 지시압력계가 녹색의 범위 내에 있어야 적합하며,빨간색 부분은 과압의 범위이고,노란색 부분은 소화기 내의 압력이 부족한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정상적으로 방출할 수 없다.
08) 소화기 실습
소화기는 초기소화에 가장 효과적인 소방시설로서 소화기 방사 실습을 통하여 사용방법을 숙달함으로써 화재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 실기실습 내용
(1)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긴다.
• 유의점 : 화점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여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통상은 2~3m 떨어짐).
(2) 소화기를 바닥에 내려놓은 후 한 손은 소화기 몸통을 잡고 다른 한 손은 안전핀을 잡아당긴다.
• 유의점 : 손잡이를 쥐고 안전핀을 제거하거나 안전핀 제거 중 소화기가 쓰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3) 한 손은 손잡이를, 다른 한 손은 노즐을 잡고 화점을 향하게 한다.
• 유의점 : 노즐을 잡지 않거나 노즐이 다른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소화가 완전히 될 때까지 약제를 화점을 향하여 골고루 방사한다.
• 유의점 : 손잡이를 누르자마자 놓거나 간헐적으로 누르지 않도록 주의하며,소화작업시는 바람을 등지고 화점을 향하여 비로 쓸듯이 골고루 방사한다.
2) 실기실습 사진
◆ 자동소화장치◆
01) 개요
화재시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방사하여 소화하는 장치
02)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주거용 주방에 설치된 열발생 조리기구의 사용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열원(전기 또는 가스)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1) 설치대상 : 아파트의 세대별 주방 및 30층 이상 오피스텔 각 실별 주방
2)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점검
(1) 가스누설탐지부 점검
가스(점검용 가스 등)를 가스누설탐지부에 분사를 한다.
① 화재 경보음이 발생하는지 확인을 한다.
② 가스누설 차단밸브가 작동하는지 확인을 한다(가스차단밸브가 잠긴다).
(2) 가스누설차단밸브 시험
① 수동작동 버튼을 눌러 작동이 되는지 확인을 한다.
② 감지센서에 가열시험을 하여 1차 감지온도에서 가스차단밸브가 작동하는지 점검을 한다.
③ 가스누설 탐지부의 작동시험으로 가스밸브가 작동하는지 점검을 한다.
(3) 예비전원 시험
전원의 플러그를 뽑은 상태에서 제어판넬(수신부)의 예비전원램프가 점등되면 정상이다.
(4) 감지부 시험
감지센서에 가열시험기로 가열하여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1차 감지하면 경보 및 가스차단밸브 작동,2차 감지하면 소화약제가 방출된다(감지부의 직접시험은 약제방출의 우려가 있으므로 수신부에서 2차 감지하여 소화기용기밸브 작동 출력신호를 보내는 회로를 차단하여 1차, 2차 감지의 시험을 할 수 있으나 조심스러운 시험이다).
[감지센서및 약제방출구] [가스누설차단밸브] [탐지부]
(5) 제어반(수신부) 점검
제어반에서 자동점검 기능이 있어 가스센서나 온도센서 및 예비전원의 이상이 생기면 자동으로 점등이 되며,소화기 상태의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음이 발생한다.
[제어반] [수신부]
(6) 약제 저장용기 점검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는 축압식과 가압식이 있으며,대부분 축압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소화약제도 분말소화약제, 강화액소화약제 등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축압식 소화기는 지시 압력계가 설치되어 있으며,압력상태가 초록색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을 한다.
가압식 소화기는 가압설비 및 약제상태를 점검한다.
-한국소방안전원-
'2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의종류 ,구조.점검 .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쿨러설비 . (0) | 2022.10.26 |
---|---|
소방시설의종류, 구조 • 점검 . 옥내소화전설비 . (0) | 2022.10.25 |
소방시설의종류 , 구조 . 점검 . 소화기구 (1) | 2022.10.23 |
화기취급감독. 위험물안전관리 , 전기안전관리 , 가스안전관리 . (0) | 2022.10.22 |
소화이론 . 소방학개론 (0) | 2022.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