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시
1) 소방교육 및 훈련의 준비와 계획서 작성
소방교육 및 훈련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전 사원 또는 모든 거주자들에게 공지하여 사전에 알려주고,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연간계획에 따라 세부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이 세부계획은 실제로 교육준비와 실행에 필요한 각종 교보재, 강사의 선정,교육장소,인원,교육방법,소방관서와의 합동훈련의 계획 등 구체적인 사항을 기술한다. 아울러 교수자는 교안을 미리 준비하고 교육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대비한다.
【소방교육 및 훈련 계획서】
교육 제목 소방시설사용⑴ - 소화기 교육인원 OO 명
교육일시 2021. 2. 3. 13 : 00~13 : 50 교육장소 3층 회의실
교육방법 강의 25분, 실습 25분 준비물 훈련용 소화기 5대
교육담당 소방안전관리자 보조요원 훈련반 3명
교육시간 교육내용 비고
13 : 00 ~ 13 : 05 • 교육안내 및 필요성 자위소방대장
13 : 05 ~13 : 25 •소화기의 원리와 작동방법
• 소화기의 관리요령
• 소화기 비치 장소 소방안전관리자
13 : 25 ~13 : 48 각 조별로 소화기 사용 실습 훈련반
13 : 48 ~13 : 50 교육 마무리 및 평가 소방안전관리자
2)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시
⑴ 교수기법
① 강의법 : 강사가 학습내용을 구두로 전달하는 가장 보편적인 교수법이다.
② 시범 •실습 : 수업시간에 시범과 실습을 통하여 이미 알려진 지식을 객관적으로 예증하거나 기능을 숙달하기 위한 교수방법이다.
③ 시물레이션 : 실제 화재 상황이나 이와 유사한 상황을 인위적으로 결정하여,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사시 재난대처능력을 강화하고 안전의식을 고취할 수 있다.
④ 토의법 : 특정 주제에 대하여 강사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 상호 간에 언어를 매체로 하여 서로 의견과 사실,정보 등을 교환하는 교수 방법이다.
⑤ 사례연구 : 실제 일어났었던 상황을 기술한 사례를 정독한 후 해당 기업 및 상황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도출하고,이에 대한 토의를 통해 경영자적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학습이다.
(2)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시
소방교육 및 훈련의 내용은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교육여건 및 자위소방대원으로서 현재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고,행동할 수 있는 내용과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할 사항을 중점 실시하여야 한다.
3) 소방교육 및 훈련의 소개
(1) 안전체험관 체험식 소방교육 및 훈련
① 실화재 연기거동 관전교육 : 외부 관람 교육으로 실제 화재의 상황에 대한 시각적 간접체험을 통하여 교육생의 교육내용 각인효과를 극대화한다.
② 모의 화재 피난 체험훈련 : 가상의 수증기를 활용한 연기 발생장치를 통하여 직접 체험 교육훈련을 실시한다.
③ 피난사다리 및 완강기 체험훈련
(2) 무각본 소방훈련
무각본 소방훈련은 기존의 시나리오에 의한 소방훈련 틀에서 벗어나 화재 발생을 가정해 119 신고부터 상황전파,초기진화,인명구조,소방차 유도 등 일련의 과정을 스스로 판단해 진행하는 훈련 방식이다.
이러한 무각본 소방훈련은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화재상황에 대비할 수 있고 각본 없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개개인 임무에 대한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03) 소방교육 및 훈련의 평가 개선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한 경우에는 교육 및 훈련 결과를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미비점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자체평가 시 반드시 자체 평가자를 내부 또는 외부에서 지정하여 객관적 평가를 하여야 한다.
교육효과 측정을 위해 교육이 끝난 후에 설문서를 받는 방법이 있다.
【소방교육훈련 효과측정 설문지 예시】
교육•훈련을 실시한 후 다음 내용을 포함한 기록을 작성 •관리해야 한다.
⑴ 교육•훈련계획 및 결과보고
⑵ 교육 •훈련 참석자 명단 및 활동기록(사진,영상 등)
⑶ 교육 •훈련 항목별 평가 체크리스트 및 측정 결과
⑷ 교육•훈련 실시 결과에 따른 개선조치계획
※작성요령
• 훈련 통제관: 소방기관과의 합동훈련 시 소방대원의 지휘관을 기재합니다.
04) 합동소방훈련의 실시
1) 합동소방훈련은 소방안전관리대상물과 소방관서에서 함께 실시하는 훈련으로,소방서장은 특급 및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으로 하여금 합동소방훈련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 합동소방훈련의 실시는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목적으로 한다.
⑴ 자위소방대의 초동조치 능력배양
(2) 신속한 상황전파 및 개인별 임무분담체계 확립
⑶ 대상물 특성에 맞는 종합적인 방화대책 수립
⑷ 소방관서,유관기관과의 역할분담 및 협조체계 구축
2) 합동소방훈련의 준비
합동소방훈련은 준비단계부터 상호 간의 의견교환을 통하여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훈련 협조 요청은 공문으로 하며,최소한 훈련 시작 1주일 전에는 발송한다. 실질적인 훈련성과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소방관서와 충분히 협의를 거쳐 계획을 수립한다. 훈련계획에는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⑴ 훈련 기자재 준비
⑵사전검검계획
⑶ 피난상 장애요인 점검 •제거
3) 훈련 규모와 내용의 결정
훈련대상 건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가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각종 활동을 연출하도록 한다. 또한 참여인력이나 동원되는 장비 등을 결정하고 필요한 부분에 대한 준비를 한다. 합동소방훈련에서 중점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화재 발생 시 119 신고 및 화재사실 전파 훈련
(2) 자체 소방시설을 활용한 자위소방대의 초기 화재진압훈련
(3) 인명대피,대피유도 및 응급처치 훈련
(4) 중요물품 반출 및 소방대 유도 훈련
4) 훈련내용의 공지
훈련의 규모와 내용이 결정되면 이 사항을 전 사원이나 거주자에게 알려서 훈련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훈련의 취지와 목적 그리고 효과성을 충분히 알려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행동하도록 유도한다.
5) 본 훈련 실시
(1) 본 훈련의 절차
(2) 훈련 시 행동요령
상황 | 행동요령 | 담당 | |||
훈련예고 | • 전 직원에게 소방훈련 시작 안내 방송 | ||||
훈련시작 | •가상화재발생 메시지 전달 | ||||
화재발생 | •연막탄 점호 K건물 앞면•발화층) | ||||
발견 • 전파 | • 직원이 화재를 발견하고 육성으로 건물 내 화재발생 전파 • 소방서 화재 신고(주소, 건물정보, 재실자 규모, 화재 종류 등) • 비상연락팀은 비상벨경보 및 비상방송 |
비상연락팀 | |||
자체진화 | • 초기소화팀이 출동하여 자체 보유 소화기 •옥내소화전을 이용 진화작업 |
초기소화팀 | |||
인명대피 | • 피난유도팀은 비상구 개방하고 곤짬객과 직원을 비상구 및 건물 밖으로 신속히 대피 유도 • 연소확대방지를 위해 방호안전팀이 건물 전기•가스공급 차단 |
피난유도팀 방호안전팀 |
상황 | 행동요령 | 담당 | |||
부상자구호 | • 응급구조팀이 부상자를 양쪽에서 부축하여 건물 밖으로 옮겨 응급 조치를 실시하고 119구급차 대기 | 응급구조팀 | |||
물품반출 | • 방호안전팀이 사무실에서 중요서류와 물품을 안전한 장소로 긴급 반출 | 방호안전팀 | |||
소방대 출동 | • 화재현장에 진입하는 소방차를 순차 유도(깃발•수신호 이용하여 정문에서 화재현장까지) | 관할소방서 | |||
소방활동 | • 현장에 도착한 소방대의 화재 진압, 환자 이송 및 인명 구조활동 | 관할소방서 | |||
종료.강평 | • 소방활동 완료 후 집합 및 강평 |
-한국소방안전원-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산 참사(龍山慘事) (0) | 2023.01.06 |
---|---|
장애인 화재사고 (0) | 2023.01.03 |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할 소방시설 적용기준 . 소방시설의 종류 및 기준 2 (0) | 2022.12.17 |
소방시설 . 펌프성능시험 2 (0) | 2022.12.17 |
소방안전교육 및 훈련 (1)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