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복구
⑴ 성능시험배관상의 개폐밸브 [②]와 유량조절밸브 [③] 폐쇄,펌프토출측 밸브 [①] 개방
⑵ 제어반에서 주,충압펌프 선택스위치 자동전환(충압펌프 자동전환 후 주펌프 자동전환)
[펌프의 성능곡선]
6)펌프성능 판단
조사한 자료로 펌프의 성능곡선 및 펌프성능시험 결과표를 작성하여 성능을 판정한다.
예) 수원이 펌프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고, 토출량이 500L/min이고 양정이 100m인 펌프의 경우
► 상기 펌프성능시험표의 이론치에 해당하는 부분은 점검표에는 없으나, 현장에서는 펌프성능시험시 판정기준이 되므로 통상 펌프성능시험 전에 작성을 해 놓는다.
①500L/minxl.0(100%) = 500L/min
②500L/minxl.5(150%) = 750L/min
③100mx1.4(140%) = 140m = 1.4MPa
④100mx1.0(100%) = 100m = 1.0 MPa
⑤100mx0.65(65%) = 65m = 0.65MPa
⑥릴리프밸브 작동압력은 체절압력 미만(1.4 MPa)에서 개방되도록 조정
( 1 ) 체절운전(무부하 시험 : No Flow Condition)
①펌프토출측밸브와 성능시험배관의 유량조절밸브를 잠근상태에서 펌프를 기동하여,
②체절압력이 정격토출압력의 140% 이하인지 확인
③체절운전시 체절압력 미만에서 릴리프밸브가 작동하는지 확인
( 2 ) 정격부하운전(정격부하시험: Rated Load ; 100% 유량운전)
①펌프를 기동한 상태에서 유량조절밸브를 개방하여 유량계의 유량이 정격유량상태(100%)일 때,
②압력계의 압력이 정격압력 이상이 되는지 확인
(펌프의 명판에 기재된 내용 또는 설계도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
(3)최대운전(피크부하 시험: Peak Load ; 150% 유량운전)
①유량조절밸브를 더욱 개방하여 유량계의 유량이 정 격토출량의 150%가 되었을 때,
②압력계의 압력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이 되는지 확인
(4)가압송수장치가 확실히 작동되는지
(5)표시 및 경보등이 적절하게 동작되는지
(6)전동기의 운전전류값이 적용범위 내인지
(7)운전중에 불규칙적인 소음, 진동, 발열은 없는지
7 ) 펌프성능시험시 주의사항
(1)성능시험시 유량계에 작은 기포가 통과하여서는 안 된다.
유량측정시 기포가 통과할 경우 정확한 유량측정이 곤란하기 때문이며,기포가 통과하는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흡입배관의 이음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
②후드밸브와 수면 사이가 너무 가까울 때
③펌프에 공동현상이 발생할 때
(2) 개폐밸브의 급격한 개폐금지 (이유: 수격현상이 발생함)
(3) 배수처리 관계에 유의(이유: 집수정의 배수펌프 용량은 소화펌프에 비해 작음)
(4) 펌프•모터의 회전축 근처에 있지 말 것(이유: 위험)
(5) 제어반과 현장측과의 의사전달을 확실히 할 것(무전시 복명복창 철저)
(6) 펌프성능시험시 토출측 개폐밸브를 완전히 폐쇄한 후 점검에 임한다.
-한국소방안전원-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안전교육 및 훈련 2 (1) | 2022.12.17 |
---|---|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할 소방시설 적용기준 . 소방시설의 종류 및 기준 2 (0) | 2022.12.17 |
소방안전교육 및 훈련 (1) | 2022.10.11 |
화재대응 및 피난 (1) | 2022.10.07 |
자위소방대 및 초기대응체계 구성 • 운영 (0) | 2022.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