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2661달러...원화 가치 하락에 7.7%↓ ▲
지난해 우리나라 달러 기준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원화 가치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8% 가까이 줄었다. 하지만 원화 기준으로는 약 4% 늘었다.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질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속보치와 같은 –0.4%, 2.6%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3월 7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2661달러로 2021년(3만5373달러)보다 7.7% 감소했다. 변동폭(2712달러)을 요인별로 분해하면, 경제성장·물가 상승이 1인당 GNI를 각 896달러, 437달러 늘렸고 반면 원-달러 환율 상승이 국민소득을 4207달러 깎아내렸다.
연평균 환율은 2021년 1144원에서 지난해 1292원으로 올랐다. 이 밖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 인구 감소는 88달러, 74달러씩 1인당 GNI를 키웠다. 달러 기준으로는 급감했지만, 지난해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4220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4.3% 많았다.
우리나라 1인당 GNI는 2017년(3만1734달러) 처음 3만달러대에 들어선 뒤 2018년 3만3564달러까지 늘었다가 2019년(3만2204달러)과 2020년(3만2004달러) 2년 연속 뒷걸음쳤다.
2021년(3만5373달러)엔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경기가 회복하고 환율이 연평균 3% 떨어지면서 3년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지난해의 경우 급격한 원화 절하와 함께 달러 기준 1인당 GNI도 다시 뒷걸음쳤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1인당 국민 소득은 2002년 이후 20년 만에 처음으로 대만에도 뒤처졌다.
■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국민총소득(GNI)은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 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이 지표에는 자국민(거주자)이 국외로부터 받은 소득(국외수취요소소득)은 포함되는 반면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비거주자)에게 지급한 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은 제외된다.
국내총생산(GDP)은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나,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알아보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전체 국민소득의 크기보다는 1인당 국민소득의 크기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1인당 GNI이다. 1인당 GNI는 명목 GNI를 한 나라의 인구수로 나누어 구하며 국제비교를 위해 보통 시장환율로 환산하여 미달러화로 표시하고 있다.
-애드윌 시사상식 2023.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