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1733 금융위,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공개 ▶ 금융위,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공개 ◀ ▶ 강제성 없는 자발적 참여에 대해서는 우려 ◀ 금융위원회가 2월 26일 한국거래소ㆍ자본시장연구원 등 유관기관들과 함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이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기업가치 제고 노력과 주주 환원 정책을 통해 만성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를 해결하겠다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하지만 이번 방안에 대해 공시 의무화 조치 등 강제성이 부과되지 않고 참여 기업에 주는 인센티브도 시장 기대보다 매우 약한 수준이라며 그 실효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일각에서는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증시를 끌어올리기 위한 단기부양책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주요 내용 방안에 따르면 먼저 약 16.. 2025. 3. 10. 금감원, 홍콩 ELS 불완전판매 보상 조치 ▶ 금감원, 홍콩 ELS 불완전판매 보상 조치 ◀ ▶ 손실 경우 따라 0~100% 지급 ◀ 금융감독원이 3월 11일 대규모 원금손실 사태가 발생한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검사 결과 및 분쟁조정 기준안」을 발표하고, 해당 상품이 지난해 말 기준 18조 8000억 원어치 판매돼 이 중 5조 8000억 원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홍콩 H지수 ELS는 2021년 은행과 증권사에서 판매됐는데, 금감원의 이번 방안에 따라 해당 투자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은 20~60% 수준에서 배상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번 배상안은 금감원이 금융사에 제시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으로 법적 강제성은 없는데, 투자자 자기책임원칙에 어긋나는 배상안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방안 주요 내용 금감원은 배상 비율을 판매.. 2025. 3. 10. 정부, 부담금 91개 중 32개 폐지․감면 ▶ 정부, 부담금 91개 중 32개 폐지․감면 ◀ ▶ 영화비 500원-전기료 年 8000원 인하 ◀ 정부가 3월 27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제23차 비상경제 민생회의를 열고 「부담금 정비 및 관리체계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부담금은 특정 공익사업에 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 등 공공기관이 세금과 별개로 국민에게 부과하는 요금으로, 돈을 내는 줄도 모르고 납부하는 경우가 많아 「그림자 조세」, 「준조세」로도 불린다. 해당 방안은 올해 24조 6000억 원 규모인 91개 부담금 가운데 32개 부담금을 개편해 연 2조 원을 줄이는 내용인데, 2002년 부담금 관리체계 도입 이후 전면 정비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매년 2조 원 규모의 부담금이 줄면서 그만큼 추가적으로 예산을 확보해야.. 2025. 3. 10. 이더리움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자 플랫폼의 자체 통화명이다. 이더리움이 제공하는 이더(Ether)는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암호화폐의 일종으로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의 화폐 단위는 ETH로 표시한다. 비트코인 이후에 등장한 알트코인 중 시가 총액이 가장 높은 대표적인 알트코인이다. Ethereum의 정확한 발음은 미국식으로는 이씨리엄([iˈθɪɹiəm])이고, 영국식으로는 이씨어리엄([iˈθɪəɹiəm])이다. 이더리움은 초기에 '이시리움' 또는 '에테리움'이라고 표기하기도 하였으나, 요즘에는 '이더리움'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개요이더리움은 2015년 7월 30일 비탈리크 부테린(Vitalik Buterin)이 개발하였다. .. 2025. 3. 7. 홍콩,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 홍콩,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 홍콩이 4월 16일 아시아 국가 중 처음으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거래를 승인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는 독일과 캐나다, 미국에 이어 네 번째인데, 다만 독일과 캐나다에서는 파급력이 약해 미국 현물 ETF가 첫 승인으로 여겨진다. 앞서 1월 10일 승인됐던 미국 현물 ETF 11종은 현재까지 약 590억 달러(약 81조 7000억 원)의 자금을 끌어모았는데, 홍콩 현물 ETF 역시 이를 따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홍콩은 미국보다 가상자산 현물 ETF의 거래 범위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데, 미국은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해 현금 상환만 허용한 반면 홍콩은 현금과 비트코인 현물 상환을 모두 허용됐다. 또 홍콩은 비.. 2025. 3. 7. 성수대교 붕괴 사고 성수대교 붕괴 사고(聖水大橋崩壞事故, Seongsu Bridge Disaster)는 1994년 10월 21일 서울특별시가 관리하는 성수대교의 상부 트러스가 한강으로 무너져내려 일어난 사고로 이로 인해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는 등 총 49명의 사상자를 낸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참사 가운데 하나이다.사고 내용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38분 경에 제10·11번 교각 사이 상부 트러스 약 50m가 붕괴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사고 부분을 달리던 승합차 1대와 승용차 2대는 현수 트러스와 함께 한강으로 추락했고 붕괴되는 지점에 걸쳐 있던 승용차 2대는 물 속으로 곤두박질쳤으며 현장을 지나가던 한성운수 소속 16번 시내버스는 뒷바퀴가 붕괴 지점에 걸쳐있다가 차체가 뒤집혀 추락한 후 .. 2025. 3. 4. 이전 1 2 3 4 5 6 7 ··· 28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