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1735

소방대상물의 안전관리(소방관계법령) 3)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 국가,지방자치단체,국공립학교 등의 공공기관은「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에따라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다. 4) 소방안전관리자 또는 소방안전관리보조자의 선임 등 ⑴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날부터 30일 이내에 선임하여야 한다.(소방안전관리 보조자의 경우 ①,③,⑤에 적용) ① 신축.증축.개축.재축.대수선 또는 용도변경으로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 또는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신규로 선임하여야 하는 경우 :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완공일(건축물의 경우에는「건축법」제22조에 따라 건축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 날을 말한다) ② 증축 또는 용도변경으로 인하여 특정소방대상물이 소방안전관리대상물로 된 경우 : 증축공사의 완공일 또는 용도변.. 2022. 8. 27.
소방관계법령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 목적 화재와 재난•재해,그 밖의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 리에 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와 소방시설 등의 설치 •유지 및 소방대상물의 안전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공공의 안전과 복리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용어의 정의 1) 소방시설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구조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 설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2) 소방시설 등 소방시설과 비상구,그밖에 손방 관련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3) 특정 소방대상물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대상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 4) 무창층 지상층 중 다음 요건을 모두 갖춘 개.. 2022. 8. 25.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5 연소이론 4 2) 연소범위 ⑴ 연소범위 기체가 연소하는 경우 기체가 확산되어서 공기 중에 섞여 ‘가연성혼합기’를 만드는데 이때 이 혼합기의 농도가 적정한 농도범위 내에 있어야만 연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범위를 ‘연소범위’라고 하며,기체에 따라 이 범위는 다르다. (2) 연소하한계와 연소상한계 연소범위에서 공기 중의 산소농도에 비해 가연성기체의 수가 너무 적어서 연소가 발생할수 없는 한계를 ‘연소하한계’라고 하며,반대로 산소에 비해 가연성기체의 수가 너무 많아서 연소가 발생할 수 없는 한계를 ‘연소상한계’라고 한다. 가연성증기의 연소범위 기체 또는 증기 연소범위 (vol%) 기체 또는 증기 연소범위 (vol%) 수소 4.1 ~ 75 메틸알코올 6~36 아세틸렌 2.5 ~ 81 암모니아 15~28 중유 .. 2022. 8. 23.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4 연소이론3 4) 연쇄반응 가연성물질과 산소 분자가 점화에너지(활성화 에너지)를 받으면 불안정한 과도기적 물질로 나누어지면서 활성화된다. 이렇게 물질이 활성화된 상태를 라디칼(radical)이라고 하는데, 극도로 불안정한 과도기적 물질로서 주변의 분자와 반응하여 공격하려는 성향,즉 반응성 이 매우 강하다. 한 개의 라디칼이 주변의 분자를 공격하면 두 개의 라디칼이 만들어지는 분기반응을 하면서 라디칼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를 '연쇄반응’이라고 한다. 연쇄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라디칼이 화염이 발생하는 연소를 주도한다. 화염이 발생하는 일반적인 연소에서는 연소의 4요소가 적용되지만 무염연소(표면연소)에서는 연쇄반응이 빠진 3요소만이 적용된다. 따라서 무염연소에서는 연쇄반응으로 발생하는 라디칼을 흡착하.. 2022. 8. 23.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3 연소이론2 3) 점화 에너지 가연성 물질이 공기(또는 산소) 중에서 가연성 혼합기를 형성하면 이를 발화시키는 데는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이 에너지를 '점화 에너지’라고 하며,가해지는 에너지는 대부분의 경우 열에너지의 형태로 부여된다. ⑴화염 아무리 작은 화염이라도 가연성 혼합기체는 확실하게 인화한다. 이것은 탄화수소(메탄,프로판,부탄 등'의 가스와 석유류)의 연소에 의한 화염온도는 혼합기체의 연료-공기비에 관계없이 혼합기체의 발화온도보다 높기 때문이다. 일반적 으로 화염에는 최저온도가 있고,그 값은 탄화수소 등에서는 약 l,200°C 정도이다. ⑵열면 가연물이 고온의 고체 표면에 접촉하면 조건에 따라서 발화된다. 이는 접촉면을 통해 열이 전달되어 가연물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자연발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 2022. 8. 23.
연소이론 . 소방학계론 2 연소이론1 1) 가연성 물질 ⑴ 종류 가연성 물질에는 대부분의 유기화합물과 금속 등이 해당되며 산소와 화학반응 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가연성 물질 유기화합물 -탄소, 수소, 질소, 산소 등의 원소로 이루어진 화학물질 금속 -칼름, 나트륨, 마그네슘 등 ◆불연성 물질 불활성기체 -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크세논(Xe), 라돈(Rn) 등 완전 산화물 - 물, 이산화탄소, 산화알루미늄 , 삼산화황 등 흡열반응물질 -질소, 질소산화물 ⑵ 가연성 물질의 구비조건 가연성이 좋은 물질은 다음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① 산소와의 친화력이 크다. 화학적 활성이 커서 산소와 쉽게 반응을 한다. ② 활성화에너지가 작다. 활성화에너지란 연소에서는 점화 에너지에 해당된다. 화염.. 2022. 8. 2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