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이론2
3) 점화 에너지
가연성 물질이 공기(또는 산소) 중에서 가연성 혼합기를 형성하면 이를 발화시키는 데는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이 에너지를 '점화 에너지’라고 하며,가해지는 에너지는 대부분의 경우 열에너지의 형태로 부여된다.
⑴화염
아무리 작은 화염이라도 가연성 혼합기체는 확실하게 인화한다. 이것은 탄화수소(메탄,프로판,부탄 등'의 가스와 석유류)의 연소에 의한 화염온도는 혼합기체의 연료-공기비에 관계없이 혼합기체의 발화온도보다 높기 때문이다. 일반적 으로 화염에는 최저온도가 있고,그 값은 탄화수소 등에서는 약 l,200°C 정도이다.
⑵열면
가연물이 고온의 고체 표면에 접촉하면 조건에 따라서 발화된다. 이는 접촉면을 통해 열이 전달되어 가연물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자연발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연물의 발화 여부는 뜨거운 가열체의 면적에 영향을 크게 받는데,프로판-공기 혼합기체를 약 85O°C가 되는 흡입 시의 담뱃불에 의해 발화되지 않는 것은 담뱃불이라고 하는 발화원 이 작기 때문이다.
⑶ 전기불꽃 (spark)
전기불꽃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에너지를 대상물에 부여하므로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발화원이다. 그러나 고체를 분해 • 발화시킬 정도의 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가연성 기체나 증기가 그 대상이 된다. 실제 화재 나 폭발사고에는 정전기 불꽃을 포함하여 전기불꽃의 원인에 의한 것이 상당히 많다.
⑷ 단열 압축
단열된 상태에서 기체를 압축하면 열이 발생•축적되는데 이 열이 발화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배관 속을 흐르는 폭발성 혼합기체에 있어서 갑자기 밸브를 닫으면 혼합기가 부분적으로 압축되면서 열이 발생하여 발화•폭발될 수있다.
(5) 자연발화
물질이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는 가운데 자체적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발화하는 현상이 ‘자연발화’이다. 자연 발화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 분해 열 : 셀룰로이드,니트로 셀룰로오스
② 산화 열 : 석탄, 건성유
③ 발효열 : 퇴비
④ 흡착 열 : 목탄,활성탄
⑤ 중합 열 : 시 안화 수소,산화에틸렌
자연발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통풍을 하거나,주위 온도를 낮추거나, 습도를 낮게 유지해야 열축적을 억제하는 것이 좋다.
(6) 기타
이외에 마찰,충격,열선,광선 등도 발화의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한국소방안전원-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5 (0) | 2022.08.23 |
---|---|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4 (0) | 2022.08.23 |
연소이론 . 소방학계론 2 (0) | 2022.08.23 |
연소 . 소방학개론 1 (0) | 2022.08.22 |
방염 . 소방관계법령 1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