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시사상식1523

한국 먹거리 물가 6.95%, OECD 35개국 중 3위 ▶ 한국 먹거리 물가 6.95%, OECD 35개국 중 3위 ◀ 4월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또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에서는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우리나라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이처럼 먹거리 물가가 치솟은 것은 사과·배, 채소 등 신선식품의 상승 때문으로, 실제로 지난 3월 신선식품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9.5%나 상승했다. 특히 사과 물가는 1년 전보다 88.2% 올라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 2025. 3. 19.
통계청, 2023년 농림어업조사」 발표 ▶ 통계청, 2023년 농림어업조사」 발표 ◀ ▶ 농촌 소멸 우려 현실화 ◀ 통계청이 4월 18일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현재 농가 수는 99만9000가구로 전년(102만 3000가구) 대비 2.3% 감소했다. 100만 가구가 붕괴한 것은 관련 조사를 시작한 1949년 이래 처음이다. 같은 기간 농가 인구는 216만 6000명에서 208만9000명으로 줄어들면서 전체 인구 중 농가 인구 비율은 4.2%에서 4.0%로 하락했다. 이러한 농가 축소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인데, 이는 농가 고령화가 심화하는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12월 1일 농가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52.6%로 전년(49.8%)보다 2.8%포인트 늘었는데, 해당 비율이 과반수가 된 것은 이번이.. 2025. 3. 17.
한국 가계대출 비율 4년째 1위, 기업부채도 급증세 ▶ 한국 가계대출 비율 4년째 1위, 기업부채도 급증세 ◀ 3월 3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100.1)이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는 2020년부터 4년째 GDP 대비가계부채 비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홍콩(93.3%), 태국(91.6%).영국(78.5%)·미국(72.8%)이 우리나라의 뒤를 이었다. 다만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보다는 소폭 내려가 2022년 말 104.5%에서 4.4%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34개국 중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는 국가는 한국의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 2025. 3. 17.
지난해 나랏빚 1126조 원, GDP 대비 첫 50% 돌파 ▶ 지난해 나랏빚 1126조 원, GDP 대비 첫 50% 돌파 ◀ 정부가 4월 1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2023 회계연도 국가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채무는 1126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59조 4000억 원 늘어난 규모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50.4%로 나타났다. 국가채무가 GDP의 절반을 넘어선 것은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인데,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난 2020년 40%를 돌파했던 국가채무 비율은 불과 3년 만에 50%를 넘어섰다. 이와 같은 국가채무의 급증에 따라 1인당 국가채무는 2195만 원으로, 전년(2076만 원)보다 120만 원가량 늘었다. 국가결산 주요 내용 지난해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 2025. 3. 17.
2023년 1인당 국민총소득 3만 3745달러, 전년보다 2.6% 증가-대만 재추월 ▶ 2023년 1인당 국민총소득 3만 3745달러, 전년보다 2.6% 증가-대만 재추월 ◀ 한국은행이 3월 5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미 달러화 기준으로 전년(3만 2661달러, 원화 기준 4405만 1000원) 대비 2.6% 증가한 3만 3745달러로 나타냈다. 1인당 GNI는 2022년(3만 2886달러)에는 7.4% 줄어들면서 대만에 20년 만에 역전당한 바 있으나 다시 대만(3만 3299달러)을 추월하게 됐다. 이는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미국 달러 대비 대만 달러화 환율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편, 1인당 GNI는 한 해 동안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값으로 국민들의.. 2025. 3. 17.
농림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 농림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 ▶ 사과 계약재배 물량 3배 늘린다 ◀ 농립축산식품부가 2030년까지 사과 계약재배 물량을 지금보다 3배로 늘리는 등의 내용을 담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을 발표했다. 해당 대책에는 기존 과수원에 견줘 생산성이 2배 이상인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조성을 지원하고, 강원도에 사과 산지를 전략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 등이 포함됐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봄철 냉해와 폭우와 병해충 등이 겹치며 사과 등 과일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나온 것으로, 특히 사과 등의 과일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 상승으로 확대되고 있는 「애플레이션」 재발을 막겠다는 취지다. 대책 주요 내용 사과ㆍ배 계약재배 물량을 지난해 각 5만tㆍ4만t 수준에서 203.. 2025. 3. 1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