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블록체인9

디지털 배지(digital badge) ▲ 수십억 규모 ‘블록체인’ 공공사업 추진된다 ▲ 그동안 수억원대에 그쳤던 공공 분야 블록체인 시범 사업 규모가 수십억 원 규모로 커진다. 4월 5일 열린 ‘블록체인 밋업’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맡은 박상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블록체인산업단장은 ‘블록체인 주요 정책 성과 및 향후 계획’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이런 계획을 소개했다. 각국에서 블록체인 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우리나라도 지난 2018년부터 2년 주기로 정부 전략을 수립해 왔다. 기술 발전 및 확산에 초점을 맞춘 시기를 지나 작년엔 산업 진흥 목적의 전략을 발표했다. 이런 과정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 투표 시스템, 기부 플랫폼, 군 장병 전자지갑 등의 서비스 개발이 이뤄지기도 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2023. 11. 30.
조각투자 ▲ 부동산·미술품·저작권 등 2024년부터 조각투자 허용 ▲ 정부가 토큰 증권(STO, Security Token Offering) 발행을 허용하기로 하면서 향후 다양한 형태의 조각투자 증권이 출현할지 주목된다. 2월 5일 금융위원회는 블록체인 기술로 전자화한 증권의 발행과 유통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토큰 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을 발표했다. 금융위는 이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화한 증권을 증권발행의 새로운 형태로 수용하기로 하면서 그동안 국내에서 불가했던 토큰 증권 발행을 허용하고 ‘증권형 토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던 명칭도 토큰 증권으로 정리했다. 토큰 증권은 실물자산이난 금융자산의 지분을 작게 나눈 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token : 특정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가상.. 2023. 7. 18.
플래시 메모리, 초격차, 블록체인,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컴포저블 인프라 ▲ SK하이닉스, 세계 첫 238단 낸드플래시 개발 성공 ▲ 세계 최고층·최소 크기 국내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가 세계 최고층은 238단 낸드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8월 3일 밝혔다. 낸드플래시는 스마트폰 PC 등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데이터 저장용 반도체로 데이터 저장 공간을 고층 건물처럼 몇 층으로 쌓아 올릴 수 있느냐가 기술력의 척도로 평가받는다. 지금까지 최고층은 미국 마이크론이 지난 7월 양산에 들어간 232단이었다. SK하이닉스는 이날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서 개막한 ‘플래시 메모리 서밋 2022’에서 신제품을 공개했다. 세계 낸드플래시 메모리 3위 업체인 SK하이닉스는 2020년 12월 176단 낸드를 개발한 지 1년 8개월 만에 238단을 선보이며 한층 높아진 기.. 2022. 12. 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