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급 소방안전관리자

전기안전관리

by 안전제일무사고 2022. 9. 1.
728x90
반응형
SMALL

01) 전기의 위험성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고 냄새도 없어 감지하기가 어려워 화재 및 감전에 대한 위험성이 있으므로 사용시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02) 주요 화재원인
1) 전선의 합선(단락)에 의한 발화
2) 누전에 의한 발화
3) 과전류(과부하)에 의한 발화
4) 기타 규격미달의 전선 또는 전기기계기구 등의 과열,배선 및 전기기계기구 등의 절연 불량 또는 정전기로부터의 불꽃


03)화재예방요령
1)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가지 전기기구를 꽂아서 사용하지 않는다.
2) 사용하지 않는 기구는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뽑아 둔다.
3) 플러그를 뽑을 때는 선을 당기지 말고 몸체를 잡고 뽑는다.
4) 과전류 차단장치를 설치한다.
5) 규격 퓨즈를 사용하고 끊어질 경우 그 원인을 조치한다.
6) 전기시설 설치 시 등록업체에 의뢰하여 정확하게 시공한다.
7) 콘센트에 플러그는 흔들리지 않게 완전히 꽂아 사용한다.
8)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월 1~2회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9) 전선은 묶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
10) 전기담요는 접힌 부분에 열이 발생하므로 밟거나 접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11) 비닐전선은 열에 약하므로 백열전등이나 전열기구 등 고열을 발생하는 기구에는 고무 코드 전선을 사용한다.
12) 비닐장판이나 양탄자 밑으로는 전선이 지나지 않도록 한다.
13) 전기기구는 'KS’ 제품을 사용하고 사용 전 사용설명서를 읽어본다.
14) 전선이 쇠붙이나 움직이는 물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한국소방안전원-

728x90
반응형
LIST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방재실의 운용  (2) 2022.09.02
가스안전관리  (0) 2022.09.01
위험물안전관리  (0) 2022.09.01
소화이론  (0) 2022.08.31
화재의발생 . 화재이론2  (1) 2022.08.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