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급 소방안전관리자

연결송수관 설비 . 소화활동설비 1

by 안전제일무사고 2022. 10. 1.
728x90
반응형
SMALL

01) 연결송수관 설비

 

1) 개요
연결송수관설비는 넓은 면적의 고층 또는 지하 건축물에 설치하며,화재 시 소방관이 소화하는 데 사용하는 설비이다.
2) 구성요소
①송수구    ②방수구    ③방수기구함    ④배관
3) 종류
⑴ 건식
평상시에 연결송수관 배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관리한다. 이 방식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31m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지상 11층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에만 설치한다.
습식
건식에 비하여 습식은 관로 내부에 상시 물이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며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31m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지상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한다.

[방수구및방수기구함] [송수구]
[연결송수관설비계통도]

02) 연결살수설비

1) 개요
연결살수설비는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의 경우 바닥면적의 합계가 l,000m2 이상,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m2 이상인 곳에 설치하는 소화활동설비이다. 연결살수용 송수구를 통한 소방펌프차의 송수 또는 펌프 등의 가압수를 공급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하여 송수구를 통하여 물을 송수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활동 설비이다.

2) 구성요소
⑴ 송수구
소화설비에 소화용수를 보급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 또는 구조물에 설치하는 관
⑵배관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어야 하며,한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는 8개 이하로 하여야 함
⑶ 살수헤드
연결살수설비 전용 헤드 또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설치

[살수헤드]
[송수구]
[연결살수설비 계통도]

03) 제연설비

1) 개요
건축물의 기밀화 진행과 고분자 재료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화재 시 화상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사망하는 경우보다는 화재현장에서 발생한 유독성 연기에 의하여 질식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계단실 또는 부속실을 화재가 발생한 장소(옥내)보다 공기압을 높여(차압) 옥내의 연기가 계단실 및 부속실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기에 의한 질식 방지로 피난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소화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소화활동 설비이다.

2) 제연설비 설치 목적
(1) 연기를 배출시켜 화재실의 연기 농도를 낮추거나 청결층을 유지(거실 제연설비 )
⑵ 부속실을 가압하여 연기 유입을 제한(부속실 급기 가압 제연설비)
(3) 연기에 의한 질식 방지로 피난자의 안전 도모
⑷ 소화활동을 위한 안전공간 확보

► 배연설비와의 차이점
6층 이상 건축물의 거실 용도가 문화 및 집회, 판매 및 영업, 업무시설 등으로 사용하는 대상물에 배연구를 설치하여 연기를 배출함으로써,거주자의 피난을 도모하기 위함.(관계법령 : 건축법 시행령 제87조 제2항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
3)제연설비의 구분

구분 거실제연설비   부속실 (급기 가압) 제연설비
목적 인명안전, 수평피난, 소화활동  인명안전, 수직피난, 소화활동
적용 화재실 (거실) 피난로(부속실,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계단실)
제연방식  급.배기방식 급기가압방식

4)급기 가압 제연설비
급기 가압이란 가압하고자 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그 공간의 기압이 다른 공간의 기압보다 높게 함으로써 "차압”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즉, 특별피난계단이 계단실 또는 부속실(비상용 승강장 포함)에 옥외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아 가압하여 화재 공간과 일정 압력의 차이를 유지하여 화재실의 연기가 제연구역 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5) 제연구역의 선정
⑴ 계단실 및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2)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3) 계단실 단독 제연하는 것
⑷ 비 상용 승강기 승강장 단독제 연하는 것

6) 차압
계단으로의 연기 유입을 막기 위해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사이에 유지하여야 하는 일정한 기압의 차이(화재 시 개념이 아니라 평상시 개념)

[차압계를 이용하여 차압을 측정하는 모습]


(1) 최소 차압 : 40Pa 이상(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 12.5Pa 이상)
(2) 출입문의 개방력 : 110N 이하
7) 방연풍속
옥내로부터 제연구역 내로 연기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풍속

  제연 구역       방연풍속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또는 계단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0.5m/s 이상
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또는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거실인 경우  0.7m/s 이상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복도로서 그 구조가 방화구조(내화시간이 30분 이상인 구조를 포함한다)인 것 0.5m/s 이상

8)제연구역 및 옥내의 출입문
⑴ 제연구역
①평상시 자동폐쇄장치에 따라 정상적인 닫힘 상태를 유지할 것. 다만,출입문(창문을 포함한다)을 개방상태로 유지 관리하는 경우에는 옥내에 설치된 감지기 작동과 연동되어 즉시 닫히는 방식으로 할 것
② 제연구역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자동폐쇄장치는 제연구역의 기압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충분한 폐쇄력이 있을 것

[급기가압제연설비 계통도]

⑵ 옥내의 출입문
① 자동폐쇄장치에 따라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② 거실 쪽으로 열리는 구조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자동 폐쇄장치는 출입문의 개방 시 유입공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충분한 폐쇄력이 있는 것으로 할 것

옥내출입로

9) 작동 순서
⑴ 거실 제연설비
① 화재 발생
② 감지기 작동 또는 수동 기동장치 작동
③ 수신기에서 화재를 감지한다.
④ 제연설비의 작동

 

가. 화재경보 발생
나. 제연 커튼이 설치된 장소 중 이동식 커튼은 감지기가 작동하면 커튼작동모터가 작동하여 제연커튼이 내려오며,고정식 제연 커튼은 감지기의 작동과 관련이 없다.
다. 배기 •급기 댐퍼가 개방된다.
라. 배기팬,급기 팬이 작동하여 배기팬은 연기를 빨아들여 밖으로 배출하며,급기 팬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거실로 불어넣는다.


(2) 부속실 제연설비
① 화재 발생
② 감지기 작동 또는 수동기동 장치 작동
③ 화재경보 발생
④ 급기 댐퍼가 개방된다.
⑤ 댐퍼가 완전히 열린 후에 송풍기가 작동한다.
⑥ 송풍기의 바람이 계단실 및 부속실에 송풍이 된다.
⑦ 플랩댐퍼의 작동 (부속실의 설정압력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압력을 배출하여 설정압범위를 유지한다)

[송풍기  배풍기][제연커튼]

10)거실제연설비 점검방법
⑴ 감지기를 작동시킨다(또는 수동기동장치의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⑵ 작동상태의 확인할 내용
① 화재경보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② 제연커튼이 설치된 장소에는 제연커튼이 작동(내려오는지)되는지 확인한다.
③ 배기 •급기댐퍼가 작동하여 개방되는지 확인한다.
④ 배풍기(배기팬)•송풍기(급기팬)이 작동하여 송풍 및 배풍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한다.
11)부속실 제연설비 점검방법
(1)옥내의 감지기를 작동시킨다(또는 수동기동장치의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2)화재경보 발생 및 댐퍼가 개방되는지 확인한다.

                               [댐퍼개방 확인]
(3) 송풍기가 작동하여 계단실 및 부속실에 바람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4) 전실 내의 차압을 측정한다(계단실 •부속실 등 차압장소의 문을 닫고 전실 안에서 측정을 한다). 적정한 차압은 40파스칼(Pa) 이상(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 12.5Pa이상)이 되어야 한다.

                                   [전실 내차압측정]

 

(5)계단실 •부속실의 방연풍속을 측정한다.
출입문을 개방한 후 풍속계로 방연풍속을 측정하며,장소에 따라 초속 05m 이상, 또는 0.7m 이상이 되어야 한다.

                        [계단실 부속실 방연풍속 측정]

(6)전실 내에서 과압이 발생한 경우 과압배출장치가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7)확인한 후에는 수신기에서 복구를 시킨다(수동기동스위치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스위치를 복구시킨다)

-한국소방안전원-

728x90
반응형
LIST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처치  (1) 2022.10.03
비상콘센트 설비 . 소방활동설비 2  (0) 2022.10.01
소화용수설비  (0) 2022.10.01
유도등 및 유도표지 . 피난구조설비 2  (0) 2022.10.01
피난기구 . 피난구조설비 1  (0) 2022.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