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수원의의 점검
수조의 수위계 등을 이용한 수원의 양 적정 여부
[수조의 수위 점검] [유효수량의 기준]
2)방수압력 및 방수량측정
방수압력과 방수량의 측정은 어느 층에 있어서도 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설치개수가1개인 경우에는 1개)를 동시에 개방시켜 놓고 측정해야 한다.
*점검 시 최상층 소화전을 이용한 방수상태 확인 사항 | ||||
•방수압력 측정 시 0.17MPa 이상 •최상층 소화전 개방시 소화펌프 자동기동 및 기동 표시등 확인 |
(1)방수압력 측정
방수구에 호스를 결속한 상태로 노즐의 선단에 방수압력측정계(피토게이지)를 근접(D/2)시켜서 측정하여 방수압력측정계(피토게이지)의 압력계상의 눈금을 확인한다.
[방수압력 측정방법][방수압력측정계 (피토게이지)][실제 방수압력 측정모습]
⑵방수량 산정
산정한 방수압력을 아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다.
(3)주의사항
①반드시 직사형 관창을 이용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②초기 방수 시 물 속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공기 등이 완전히 배출된 후에 측정하여야 방수압력측정계(피토게이지)의 입구구경이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막힘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③방수압력측정계(피토게이지)는 봉상주수상태에서 직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직사형 관창] [방사형 관창]
3)제어반 점검
자동기동방식의 옥내소화전 설비의 동력제어반과 감시제어반(수신기)에는 펌프의 “자동", “정지","수동"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펌프의 선택 스위치는 동력제어반 및 감시제어반 모두 "자동(또는 연동)"의 위치에 놓여 있어야 소화전 사용 시 자동으로 펌프가 기동하여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다.
(1)동력제어반의스위치와 표시등
펌프운전 선택스위 치는 자동(AUTO)위 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선택스위치 가 자동의 위치에 있어야 배관 내 압력저하 시 소화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자동의 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동력제어반 : 전기실 MCC(적색부분이 동력제어반)] [동력제어반 선택스위치 자동 위치]
2) 감시제어반의 스위치와 표시등
①펌프운전 선택스위치의 자동위치 여부
소화전 주펌프와 충압펌프의 운전 선택스위치가 자동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정지위치에 있다면 화재 시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여도 소화펌프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정상위치에 있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감시제어반] [감시제어반 펌프운전 선택스위치]
②각종 표시등은 소등되어져 있는지 확인
펌프압력스위치 표시등과 저수위감시스위치 표시등이 소등되어져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소화펌프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압력스위치 표시등이 점등되어져 있다면 화재가 발생하여도 소화펌프는 작동하지 않으며,또한 평상 시 소화수가 없음을 알려주는 저수위감시표시등이 점등되 어져 있다면 소화수가 없으므로 소화펌프가 작동된다 하여도 소화수가 나오지 않게 되므로 제어반의 표시등 점등 여부를 주의 깊게 확인한다.
4)소화전함 점검
(1) 소화전함 상부 기동 표시등 및 사용설명서,사용요령 표지 등 관리상태 여부 확인
[사용요령 표지(자동기동방식)][사용요령 표지(수동기동방식)]
(2) 밸브와 호스 연결 및 정리상태 여부 확인
[밸브와 호스 연결][호스의 정리상태]
(3)소화전 함 주변 장애물 등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는 물건적재 여부
[소화전 앞 물건적재]
5)펌프의 기동, 정지압력 세팅
(1)압력스위치
①기능 : 펌프의 기동 • 정지압력을 압력 스위치에 세팅하여 평상시 전 배관의 압력을 검지하고 있다가,일정 압력의 변동이 있을 때 압력 스위치가 작동하여 감시 제어반으로 신호를 보내어 설정된 제어순서에 의해 펌프를 자동 기동 또는 정지 시키게 된다.
②압력세팅 : 압력스위치에는 Range와 Diff의 눈금이 있으며 압력스위치 상단부의 나사 를 이용하여 현장상황에 맞도록 펌프의 기동•정지압력을 세팅한다.
가. Range : 펌프의 정지압력을 표시 나. Diff: 펌프 정지점과 기동점과의 차이(= 정지압력-기동압력)를 표시 |
(2)기동점, 정지점의 계산
①정지점 계산
가. 주펌프의 정지점 : 펌프양정을 압력으로 환산한 값
예] 양정이 80m라면 80의 1/100인 0.8MPa
※ 현재 주펌프는 자동으로 정지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교재에서는 압력스위치에 주펌프
정지점을 세팅해 놓고 전기적인 자기유지접점을 이용해서 주펌프가 한 번 기동하면 수동으로
정지하지 않는 한 계속 동작하도록 하는 전기적인 방식으로 기술한다.
나. 충압펌프의 정지점 : 주펌프의 정지점과 같거나 조금 낮은 값
②기동점 계산
가. 주펌프의 기동점 : 아래의 2개의 압력 중 높은 것으로 한다.
㉮ 가장 높이 설치된 방수구 또는 헤드로부터 펌프 중심점까지의 낙차를 압력으로 환산한 값+
0.2MPa(옥내소화전) [또는 + 0.15MPa(스프링클러)]
㉯ 옥상수조가 설치된 경우 옥상수조로부터 펌프 중심점까지의 낙차를 압력으로 환산한 값 ᅳ
0.05MPa
※ 옥상수조와 가장 높이 설치된 방수구 또는 헤드까지의 낙차가 클 경우 ‘‘㉮”의 값을 기동점으로 할경우, 옥상수조에서의 압력으로 인해 주펌프가 기동점까지 압력이 낮아질 수 없기때문에 "㉯"의 방법을 계산하여 “㉮와 ㉯”의 값 중에 큰 값을 기동점으로 하여야 한다.
나. 충압펌프의 기동점 : 충압펌프의 기동점은 주펌프의 기동점보다 0.05MPa 높게 설정한다.
(3) 압력스위치 세팅
①감시제어반의 주펌프, 충압펌프를 정지시킨다.
②주펌프,충압펌프의 압력스위치를 확인하기 위해,2개 중 하나의 압력스위치의 동작확인침을 내려 접점을 붙인다(압력챔버에 가압수가 차있기 때문에 동작확인침을 내렸다 놓으면 접점이 다시 복구된다).
③이때,감시제어반의 P/S(압력스위치) 표시등이 점등되는 것을 확인하여,주펌프인지 충압펌프인지 확인한다(만약 주펌프가 기동하여 자동으로 정지하지 않으면 동력 제어반에서 주펌프를 정지로 놓는다).
④주펌프와 충압펌프 압력스위치가 확인되면,주펌프의 압력스위치 Range 눈금 위에 설치된 조절볼트를 드라이버로 조정하여 Range의 눈금을 앞에서 계산한 주펌프의 정지점으로 세팅한다.
⑤주펌프의 압력스위치 Diff 눈금 위에 설치된 조절볼트를 드라이버로 조정하여 Diff의 눈금을 앞에서 계산한 주펌프의 정지점과 기동점의 차이값으로 세팅한다.
⑥ 충압펌프의 압력스위치 Range 눈금 위에 설치된 조절볼트를 드라이버로 조정하여 Range의 눈금을 앞에서 계산한 충압펌프의 정지점으로 세팅한다.
⑦충압펌프의 압력스위치 Diff 눈금 위에 설치된 조절볼트를 드라이버로 조정하여 Diff의 눈금을 앞에서 계산한 충압펌프의 정지점과 기동점의 차이값으로 세팅한다.
⑧동력제어반,감시제어반에서 주펌프,충압펌프를 모두 자동으로 전환한다.
⑨ 압력챔버의 배수밸브를 열거나,옥내소화전 방수,스프링클러설비의 시험밸브를 개방하여 충압펌프,주펌프의 기동압력이 정확히 세팅되었는지 확인한다.
⑩ 개방한 밸브를 폐쇄하여 충압펌프,주펌프의 정지압력이 정확히 세팅되었는지 확인한다.
04)옥내소화전 실습
옥내소화전은 화재 시 건물 관계자가 신속하게 사용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옥내소화전 방수 실습을 통하여 사용방법을 충분히 익혀야 한다.
1) 실기실습 내용
(1) 발신기를 누르고 소화전함을 신속히 연다.
•유의점 : 옥내소화전함 상부에 설치된 발신기 버튼을 눌러 화재 사실을 알린다.
(2) 한 사람이 호스와 노즐을 화점 가까이 전개하여 이동한 후 소화전 함에 대기하고 있는 조력자에게 "밸브개방”이라고 외친다.
•유의점 : 호스가 꼬이면 물이 나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전개 하며,밸브 개방이라는 구령을 힘차게 외치고 밸브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개방(*ON-OFF 방식의 경우 스위치를 별도로 작동 시킴)한다.
⑶ 밸브를 개방하고 노즐을 조작하여 방수한다.
•유의점 : 방수 시 한 손은 관창선단을 잡고 다른 한 손은 결합부를 잡은 상태에서 호스를 최대한 몸에 밀착시킨다.
(4) 소화전 사용이 끝나면(방수완료 후 "밸브폐쇄”라고 외친 후 밸브를 폐쇄(* ON-OFF 방식의 경우 OFF스위치를 누름)한 후 호스는 그늘에 말려서 다시 사용하기 쉽도록 정리한다.
•유의점 : 밸브를 폐쇄하는 경우에도 밸브폐쇄라는 구령을 크게 외치고,밸브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실기실습사진
-한국소방안전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