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쿨러 설비 ※
01) 개요
스프링클러설비는 물을 소화약제로 하는 자동식소화설비로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소방대상물의 천장,벽 등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헤드에서 자동으로 물이 방사되어 냉각 및 질식효과를 통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설비 이다.
초기소화에 절대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조작이 비교적 간편하고 안전하며,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경보 및 소화를 할 수 있는 설비를 말한다.
02)스프링클러설비의 구조원리
스프링클러설비는 헤드, 수원,가압송수장치,배관,음향장치 및 기동장치,송수구,유수검지장치등으로 구성된다.
1) 헤 드
"스프링클러헤드"란 화재 시의 가압된 물이 내뿜어져 분산됨으로써 소화기능을 하는 것을 말하며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1)구조
①프레임(Frame): 헤드의 나사부분과 디플렉타를 연결하는 이음쇠 부분
②디플렉터(Deflector): 헤드의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세분시키는 작용을한다.
③감열체 : 정상상태에서는 방수구를 막고 있으나 열에 의해서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스스로 파괴 또는 용해되어 헤드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열려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퓨즈블링크와 유리벌브(글라스벌브)가 많이 사용된다.
◆스프링클러헤드의 구조
(2)종류
①감열체의 유무에 따른 분류
가.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있는 감열체가 일정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 •용해 또는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개방되는 헤드
나.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 감열체 없이 방수구가 항상 열려져 있는 헤드
◆스프링클러헤드
폐쇄형 / 개방형
②부착방식에 따른 분류
상향형 / 하향형 / 측벽형
③주위온도에 따른 분류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는 그 설치장소의 평상시 최고주위 온도에 따라 아래의 표에 따른 표시온도의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높이가 4m 이상인 공장 및 창고(랙크식 창고를 포함)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는 그 설치장소의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에 관계없이 표시온도 121°C 이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 | 표시온도 |
39°C 미만 | 79°C 미만 |
39°C 이상 64°C 미만 | 79°C 이상 121°C 미만 |
64'C 이상 106'C 미만 | 121°C 이상 162°C 미만 |
106°C 이상 | 162°C 이상 |
(3) 방수압력 및 방수량
기준개수의 모든 헤드로부터
①방수압력 : 0.1MPa 이상 1.2MPa 이하
②방수량 : 80L/min • 개 이상
(4) 헤드의 기준개수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장소에 따라 적용하는 헤드의 기준개수는 아래 표와 같다. 이때,하나의 소방대상물이 2 이상의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란에 해당하는 때에는 기준개수가 많은 것을 기준으로 한다.
*헤드의 기준개수
2)수원
(1) 저수량
①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헤드 기준개수 x 1.6㎥ 이상
예) 아파트의 기준개수 : 10개x80L/minx20min =16.000L = 16㎥
(단, 30층 이상 특정소방대상물 중 30층 이상~49층 이하 : 헤드 기준개수X 3.2㎥ 이상, 50층이상 : 헤드 기준개수 x4.8㎥ 이상)
②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가. 최대 방수구역에 설치된 헤드의 개수가 30개 이하 : 설치헤드수 x 1.6㎥ 이상
나. 30개를 초과하는 경우 : 가압송수장치의 1분당 송수량 x 20min
(2) 수원의 종류 및 기타 기준 : 옥내소화전 설비준용
3)배관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은 가지배관,교차배관,주배관등이 있다.
(1)가지배관 : 스프링클러헤드가설치되어 있배관
①토너먼트방식이 아닐 것
► 이유 : 유체의 마찰손실이 너무 크므로 압력손실의 최소화하고 수격작용을 방지
②교차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한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 : 8개 이하
(2)교차배관 : 직접 또는 수직배관을 통하여 가지배관에 급수하는 배관
①위치 : 가지배관과 수평 또는 밑에 설치
②교차배관 끝에 청소구를 설치하고 나사보호용의 캡으로 마감
(3)배관부속품,물올림장치,순환배관,펌프성능시험배관은 옥내소화전설비 준용
4)유수검지장치
배관 내의 유수현상을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신호 또는 경보를 발하는 장치로서,방식에 따라 습식,건식,준비작동식으로 구분된다.
-한국소방안전원-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클러의종류 . 스프링클러 설비 3 (0) | 2022.09.23 |
---|---|
스프링클러의종류 . 스프링클러 설비 2 (1) | 2022.09.22 |
옥외소화전설비 (1) | 2022.09.20 |
옥내소화전설비 점검 (0) | 2022.09.18 |
옥내소화전설비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