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급 소방안전관리자

소화기 점검

by 안전제일무사고 2022. 9. 15.
728x90
반응형
SMALL

1)소화기 적응성
소화기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적응성 있는 소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 A:일반화재

 • B:유류화재

• C:전기화재

• K:주방화재


2)본체 용기
본체용기가 변형,손상 또는 부식된 경우 교체하여야 한다. 특히 생산이 중단된 가압식소화기는 사용 중 사용자가 목숨을 잃는 사망사고 발생 사례도 있으며,사용상 주의를 요한다.

3)누름쇠 레버 등의 조작장치
손잡이의 누름쇠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면 사용 시 손잡이를 눌러도 소화약제가 방출되지 않을수 있다.

4) 호스 • 혼  • 노즐
호스가 찢어지거나 노즐 • 혼이 파손되거나 탈락되면,찢어진 부분이나 파손된 부분으로 소화약제가 새어 화점으로 약제를 방출할 수 없다. 소화기의 종류 및 그 중량에 따라 호스 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소화기도 있으며,이 경우 소화기 본체에 직접 노즐 또는 혼이 부착되어 있다.

5)지시압력계
지시 압력계가 녹색범위에 있어야 정상이며,노란색(황색) 부분은 소화기 내의 압력이 부족한 것으로 소화약제를 정상적으로 방출할 수 없어 재충전 또는 소화기 교체가 필요하며,적색 부분에 있으면 과압(압력이 높음) 상태를 나타낸다.

6)소화약제
분말소화기는 분말소화약제가 굳거나 고형화된 것이 있는지 점검하여야 하며 지시압력계가 정상(녹색)범위라 하더라도 소화약제가 굳어 있다면 화재 시 정상 사용이 불가능하다.지시 압력계가 없는 이산화탄소소화기는 소화약제가 방출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화기의 전체 무게를 측정하여 소화기의 제원표에 있는 소화기의 총중량과 비교하여 소화약제 방출 여부를 점검한다. 제원표의 총중량에서 측정된 소화기의 무게를 빼면 손실된 약제증량이 계산되며,손실량이 제원표 약제중량의 5% 초과 시 불량이다.

7)안전핀
안전핀의 탈락 여부,안전핀이 변형되어 있지 않은지 점검한다.

8)자동확산소화기 점검방법 
소화기의 지시압력계 상태를 확인한다. 지시압력계가 녹색의 범위 내에 있어야 적합하며,빨간색 부분은 과압이고,노란색 부분은 소화기 내의 압력이 부족한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정상적으로 방출할 수 없다.

08)소화기 실습
소화기는 초기소화에 가장 효과적 인 소방시설로서 소화기 방사 실습을 통하여 사용방법을 숙달함으로서 화재 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실기실습 내용
(1)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긴다.
•유의점 : 화점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여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통상은 2~3m 떨어짐).
(2)소화기를 바닥에 내려놓은 후 한 손은 소화기 몸통을 잡고 다른 한 손은 안전핀을 잡아당긴다.
•유의점 : 손잡이를 쥐고 안전핀을 제거하거나 안전핀 제거 중 소화기가 쓰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3)한 손은 손잡이를,다른 한 손은 노즐을 잡고 화점을 향하게 한다.
•유의점 : 노즐을 잡지 않거나 노즐이 다른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소화가 완전히 될 때까지 약제를 화점을 향하여 골고루 방사한다.
•유의점 : 손잡이를 누르자마자 놓거나 간헐적으로 누르지 않도록 주의하며,소화작업시는 바람을 등지고 화점을 향하여 비로 쓸듯이 골고루 방사한다.

2 )실기실습사진

소화기 사용방법

-한국소방안전원-

728x90
반응형
LIST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내소화전설비  (0) 2022.09.17
자동소화장치  (0) 2022.09.16
소화기구  (0) 2022.09.12
수용인원의 산정방법  (0) 2022.09.08
소화용수설비 . 소방시설의 종류 및 기준4  (1) 2022.09.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