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급 소방안전관리자

연소 . 소방학개론 1

by 안전제일무사고 2022. 8. 22.
728x90
반응형
SMALL

분전함 자동소화장치

   ♠연소

 

1. 연소의 정의

연소는 간단히  '물질이 결렬한 산화반응을 함으로써 열과 빛을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정의된다. 조금 더 학술적으로 정의하면 '가연성 물질과 산소와의 혼합계에서 산화반응에 따른 발열량이 그 계로부터 방출되는 열량을 능가함으로써 그 계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복사선의 파장의 강도가 빛으로 육안에 감지되는 것'이 된다.

'산화반응 중에 반응에 따른 에너지 방출량이 커서 육안에 의해 빛으로 검출되는 것이 '연소'이다. 그러므로 공기 중에 철(Fe)이 산화하여  산화철이 되는 반응속도가 완만하여 에너지 방출량이 크지 않아 육안에 의해 검출될 만한 빛이 발생하지 않기에 '산화'이긴 하지만 '연소'는아니다.

 

2. 연소의 요소

연소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불에 탈 수 있는 물질인 '가연성 물질'과 이를 산화시킬 수 있는 '산소' 두 가지 물질이 필요하다. 이를 '물질 조건'이라 하고, 양론적으로 두 물질의 반응하기 적정한 비율의 의미까지 포함한 의미로는 '조성 조건'이라 한다.

이런 물질 조건만 구비되었다고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이를 점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 조건도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를 흔히 '점화 에너지'라고 하고 가연성 물질, 산소, 점화 에너지를 연소의 3요소라 하며, 여기에 '연쇄반응'을 더한 것을 연소의 4요소라고 한다.

 

-한국소방안전원-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