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급 소방안전관리자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4

by 안전제일무사고 2022. 8. 23.
728x90
반응형
SMALL

연소이론3

4) 연쇄반응
가연성물질과 산소 분자가 점화에너지(활성화 에너지)를 받으면 불안정한 과도기적 물질로 나누어지면서 활성화된다. 이렇게 물질이 활성화된 상태를 라디칼(radical)이라고 하는데, 극도로 불안정한 과도기적 물질로서 주변의 분자와 반응하여 공격하려는 성향,즉 반응성 이 매우 강하다.
한 개의 라디칼이 주변의 분자를 공격하면 두 개의 라디칼이 만들어지는 분기반응을 하면서 라디칼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를 '연쇄반응’이라고 한다. 연쇄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라디칼이 화염이 발생하는 연소를 주도한다.
화염이 발생하는 일반적인 연소에서는 연소의 4요소가 적용되지만 무염연소(표면연소)에서는 연쇄반응이 빠진 3요소만이 적용된다.
따라서 무염연소에서는 연쇄반응으로 발생하는 라디칼을 흡착하여 없애는 억제소화는 효과가 없다.

 

※연소의 범위
1) 한계산소농도(LOI : Limited Oxygen Index)
연소의 조건 중 물질요소인 ‘가연성물질’과 ‘산소’와의 양론적인 면을 고찰할 때,가연성물질이 연소할 수 있는 공기 중의 최저산소농도를 한계산소농도 혹은 한계산소지수(LOI)라고 한다. 물질에 따라서 ,이 농도는 다른데 일반적인 가연물의 경우 14~15vol% 정두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건물에서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이 농도 이하로 유지하면 화재는 소멸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소방안전원-

 

728x90
반응형
LIST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관계법령  (0) 2022.08.25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5  (0) 2022.08.23
연소이론 . 소방학개론 3  (0) 2022.08.23
연소이론 . 소방학계론 2  (0) 2022.08.23
연소 . 소방학개론 1  (0) 2022.08.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