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급 소방안전관리자53 소방계획의 수립 2 ◆ 소방계획의 수립 1.소방계획 수립시 포함해야 할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위치•구조•연면적•용도 및 수용인원 등 일반 현황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설치한 소방시설.방화시설, 전기시설•가스시설 및 위험물시설의 현황 •화재예방을 위한 자체점검계획 및 진압대책 •소방시설•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점검•정비계획 •피난층 및 피난시설의 위치와 피난경로의 설정, 장애인 및 노약자의 피난계획 등을 포함한 피난계획 •방화구획,제연구획,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 및 방염물품의 사용현황과 그 밖의 방화구조 및 설비의 유지•관리계획 •소방훈련 및 교육에 관한 계획 •특정소방대상물의 근무자 및 거주자의 자위소방대 조직과 대원의 임무(장애인 및 노약자의 피난보조 임무를 포함한다)에 관한 사항 •화기취급작업에 .. 2022. 11. 7. 소방계획수립. 화재대응 및 피난 ◆ 화재대응 1)화재전파 및 접수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외쳐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화재경보장치(발신기)를 누른다. 화재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자동으로 수신반으로 화재 신호가 접수된다. 2)화재신고 화재를 인지/접수한 경우 침착하게 불이 난 사실과 현재 위치(건물주소,명칭),화재진행 상황 및 피해현황 등을 소방기관(119)에 신고한다. 이 경우 소방기관에서 알았다고 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않는다. 3)비상방송 담당 대원은 비상방송설비(일반방송설비 또는 확성기 등 장비)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화재사실을 전파하며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피난 개시를 명령한다. 4) 대원소집 및 임무부여 화재가 접수되면 초기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하게 화재에 대응하고 이후 화세의 확대 여부 등을 고려하여 자위소방대장 또는 부대장.. 2022. 11. 6. 자위소방대 및 초기대응체계 구성 • 운영 • 훈련방법,소방계획수립, ◆ 자위소방대 및 초기대응체계 구성 •운영 제1절 자위소방대 기본 개념 및 이해 01) 자위소방대 개요 1) 자위소방대의 개념 (1) 자위소방대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서 화재 등 재난발생 시 비상연락,초기소화,피난유도 및 인명 • 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해 편성된 자율안전관리 조직이다.「화재예방,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하여금 자위소방대를 구성하고 운영토록 규정하고 있다. (2) 자위소방대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화재 시 초기소화,조기 피난 및 응급처치 등에 필요한 골든타임(화재 시 5분, CPR은 4서분 이내)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나아가 “개인의 재산권은 스스로 보호해야 한다”는 자기 책임의 원칙에 입각한 관계자의 인식전환 및 책임.. 2022. 11. 5. 소방계획의 수립 1 ◆ 소방계획의 개념 및 이해 01) 소방계획의 개념 소방계획은 소방안전관리 대상물의 화재로 인한 재난발생을 사전에 예방• 대비하고 화재 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복구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작성 •운영하고 유지 •관리하는 위험관리 계획을 의미한다. 02) 소방계획의 작성근거 및 주요 내용 1) 작성근거 (1)「화재예방,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제20조 제6항 제1호 > 법 제21 조의2에 따른 피난계획에 관한 사항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 포함된 소방계획서의 작성 및 시행 (2)「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4조 2) 주요내용 •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위치 • 구조 • 연면적 • 용도 및 수용인원 등 일반 현황 • 소.. 2022. 11. 4. 피난구조설비. 피난기구. 소방시설의 종류 , 구조 • 점검 ◆ 피난구조설비• 피난구조설비의 종류를 구분하여 구조 및 원리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피난구조설비의 점검방법을 숙지하여, 작동기능점검을 할 수 있다. 제1절 피난기구 01) 개요 피난기구란 화재가 발생하였을때 소방대상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안전한 장소로 피난할때 사용하는 기구를 말한다. 02) 피난기구의종류 1)구조대 화재시 건물의 창,발코니 등에서 지상까지 포대를 사용하여 그 포대 속을 활강하는 피난기구이다. 2)완강기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내려올수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사용할수있는 것을 말하며,조속기,조속기의 연결부,로프,연결금속구,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3) 간이완강기간이완강기라 함은 지지대 또는 단단한 물체에 걸어서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내려.. 2022. 11. 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유지관리 및 비화재보 대처방법, .경보설비 .소방시설의종류. 구조.점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유지관리 및 비화재보 대처방법 1)비화재보 화재에 의한 열,연기 또는 불꽃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작동하여 화재경보를 발하는 것을 “비화재보(非火災報)”라 한다. 즉,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 하더라도 화재가 아닌 경우의 경보를 말한다. 이러한 비화재보는 감지기 주변의 실제 화재와 유사한 환경이나 상황 조성, 설비자체의 기능상 원인,유지 • 관리상 원인 또는 실수나 고의적 행위로 인한 오동작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철저한 유지 • 관리가 필요하며, 비화재보 및 오동작을 이유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경보를 정지상태로 관리해서는 안된다. 2)비화재보의 원인과 대책 주요 원인 / 관련내용 /.. 2022. 11. 2.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