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1급 소방안전관리자76

연결송수관 설비 . 소화활동설비 1 01) 연결송수관 설비 1) 개요 연결송수관설비는 넓은 면적의 고층 또는 지하 건축물에 설치하며,화재 시 소방관이 소화하는 데 사용하는 설비이다. 2) 구성요소 ①송수구 ②방수구 ③방수기구함 ④배관 3) 종류 ⑴ 건식 평상시에 연결송수관 배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관리한다. 이 방식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31m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지상 11층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에만 설치한다. ⑵습식 건식에 비하여 습식은 관로 내부에 상시 물이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며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31m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지상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한다. 02) 연결살수설비 1) 개요 연결살수설비는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의 경우 바닥면적의 합계가 l,000m2 이상,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 2022. 10. 1.
소화용수설비 ◆ 소화용수설비 소화용수설비는 넓은 대지를 갖는 대규모 건축물이나 대형 고층건물에 설치하여 화재 시 소방대가 소화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설비이다. 01) 상수도소화용수설비 1) 배관경 : 호칭지름 75mm 이상의 수도배관에 100mm 이상의 소화전을 접속 2) 소화전 설치 위치 : 소방자동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 3) 소화전 설치 수펑거리 : 특정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것 02) 소화수조 및 저수조 1) 채수구 설치위치: 소방차가 2m 이내의 지점까지 접근할수 있는 위치에 설치 2) 가압송수장치: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가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4.5m 이상인 지하에 있는 경우 가압송수장치 설치 3) 저수량 소화수조의 저수량은 소방대.. 2022. 10. 1.
유도등 및 유도표지 . 피난구조설비 2 ◆ 유도등 및 유도표지 01) 개요 화재 시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등 및 표지로서, 유도등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용전원으로 점등되고,정전되었을 때는 비상전원으로 자동절환되어 20분 이상(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이상의 층,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 • 소매시장 • 여객 자동차터미널 • 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의 경우는 6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02)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설치장소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1. 공연장•집회장(종교집회장 포함)•관람장•운동시설 •대형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 2. 유흥주점영업시설(「식품위생법 시행령」제21조 제8호 라목의 유흥주점 영업 중 손님이 춤을 출 수 있는 무대가 설치된 카바레 , 나이트클럽 또는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영.. 2022. 10. 1.
피난기구 . 피난구조설비 1 ◆  피난기구01) 개요피난기구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소방대상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안전한 장소로 피난할 때 사용하는 기구를 말한다. 02) 피난기구의 종류1) 구조대화재 시 건물의 창,발코니 등에서 지상까지 포대를 사용하여 그 포대 속을 활강하는 피난기구이다. 2) 완강기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내려을 수 있는 기구중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조속기,조속기의 연결부,로프, 연결금속구,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3) 간이완강기간이완강기라 함은 지지대 또는 단단한 물체에 걸어서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일회용의 것을 말한다. 4) 피난사다리 건축물 화재시 안전한 장소로 피난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2022. 9. 30.
비상방송설비 01) 개 요 비상방송설비는 화재발생 시 특정소방대상물 내 인원에게 스피커를 통하여 화재발생장소 등을 알려주어 소방활동 및 피난유도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설비이다. 02) 구 성 기동장치,비상전화,스피커, 증폭기 및 조작장치 등 ◈화재발생=>감지기,발신기 또는 중계기 작동한다=>수신기에서 화재를 수신하여,앰프로 출력신호를 보낸다=>방송앰프 작동한다=>스피커로 방송이 출력된다 03) 스피커 설치기준 1) 음성입력 (1) 실내 : 1W 이상 (2) 실외 또는 일반적인 장소 : 3W 이상 2) 각층마다 설치하되 하나의 스피커까지는 수평거리 25m 이하가 되도록할 것 3) 경보방식 자동화재탐지설비 경보방식 준용 04) 방송개시 시간 기동장치에 의한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10.. 2022. 9. 30.
자동화재탐지 설비의 유지관리 및 비화재보 대처방법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유지관리 및 비화재보 대처방법 01) 비화재보화재에 의한 열,연기 또는 불꽃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작동하여 화재경보를 발하는 것을 "비화재보"라 한다. 즉,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 하더라도 화재가 아닌 경우의 경보를 말한다.  이러한 비화재보는 감지기 설치 주변의 실제 화재와 유사한 환경이나 상황,설비 자체의 기능상 원인,유지 • 관리상 원인 또는 실수나 고의적 행위로 인한 오동작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철저한 유지 • 관리가 필요하며,비화재보 및 오동작을 이유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경보를 정지상태로 관리해서는 안된다. 02) 비화재보 원인과 대책주요 원인대책주방에 「비적응성 감지기」가 설치된 경우적응성 .. 2022. 9. 3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