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역사의식 바로세우자117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국민의 공공복리와 행복의 증진을 주요한 기능으로 하는 국가이다. 복지(welfare)란 well(자기의사에 좇아 적절하고 충분히)와 fare(살아가다, 되어가다)로 이루어진 언어로서 ‘사람들의 만족상태와 행복도’를 의미하는데, 사회과학에서 정책 내지 체제의 목적으로서 사회복지가 전제됨으로써 학술적 용어로서도 쓰이게 되었다.역사19세기 후반 이후, 고도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자본주의가 초래하는 많은 폐단이 각국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나게 되었다. 마르크스는 미국 같은 자본주의 정부가 민주주의를 표방한다고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부르주아 즉 유산계급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부르주아 독재'에 불과하다고 비판하면서 부르주아에게서 권력을 빼앗는 무산계급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를 전복하여야 한다고 주장하.. 2025. 3. 30. 내선일체 내선일체(일본어: 内鮮一体)는 일본 제국이 일제강점기 조선을 일본에 완전히 통합하고자 내세운 표어로, 곧 내지(內, 일본)와 조선(鮮)이 한 몸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는 조선인의 민족 정체성을 사라지게 하여 일본으로 편입시키려 한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평가받는다. 비슷한 구호로, 선만일여(鮮満一如), 내선융화(内鮮融和), 일시동인(一視同仁) 등이 있다.역사1910년 일제는 조선을 강제 합병한 후 점차 조선에서 일본어 교육을 실시해나갔으며, 모든 민족적인 문화활동을 금지하고 일본어 교육을 강요함을 통하여 민족성을 말살하려고 획책했다. 매우 끔찍한 행위다. 이러한 탄압은 1937년 중일 전쟁 이후에 더욱 강화되어, 1938년 이후 '일본어 상용화 정책'을 실시하여 부분적으로 시행되던 조선어 교육을 폐지.. 2025. 3. 28. 궁성요배 궁성요배(일본어: 宮城遥拝 규조요하이)는 일본 제국과 그 식민지들의 주민들이 고쿄(궁성)가 있는 방향으로 고개를 숙여 절을 하던 예법을 가리킨다. 궁성요배는 일본 제국의 내지(일본 제국의 일본 본토) 뿐만 아니라 외지(일본 제국의 식민지), 일본 제국의 괴뢰 국가 어디서든지 가능했다. 타이완에서는 황성요배(중국어: 皇城遙拜), 조선에서는 황거요배(한국 한자: 皇居遙拜), 만주국에서는 동방요배(중국어: 東方遙拜)라고도 했다.목적일본 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운동의 하나로 기미가요 제창, 일장기 게양, 어진영에 대한 경례와 함께 궁성요배가 성행했다. 궁성요배는 일본 천황이 있는 도쿄의 황궁에 대한 요배이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일본 국민들의 전의를 드높일 목적으로 궁성요.. 2025. 3. 28. 조중동 조중동(朝中東, 영어: Chojoongdong)은 대한민국의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각 신문사의 앞머리 글자를 따서 엮은 줄임말이다. 2019년 9월 기준으로 조중동은 대한민국 신문 시장의 8%를 차지하며, 2011년 종합편성채널을 개국하였다.명칭조중동은 신문시장을 과점하는 보수 신문 3사를 지칭하는 말이다. 조중동이란 표현은 본래 '안티조중동'과 같이 조중동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최초로 사용한 말이다. 2000년 10월, 한겨레신문 정연주 논설위원의 '조폭언론 시리즈'라는 칼럼을 통해 조선, 중앙, 동아일보를 묶어 부르기도 했고, 언론 보도에서는 이 표현이 2001년부터 등장하지만, 당시에는 널리 통용되는 표현이 아니었기 때문에 '조중동(조선 중앙 동아)'과 같이 괄호 안에 설명을 덧붙이는 경우.. 2025. 3. 27. 평화의 소녀상 평화의 소녀상(영어: Statue of Peace) 혹은 위안부 상(일본어: 慰安婦像 이안후조)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리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확립하기 위한 예술 조형물(동상)이다. 평화비(平和碑)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상의 모양은 의자에 앉아있는 모양과 서있는 모양이 대표적이다.대표적인 소녀상 정보 주 대한민국 일본대사관 앞 평화비1992년 수요시위가 시작되고 20년 뒤인 2011년 12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서울에 위치한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거리의 투쟁을 이어온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염원하기 위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이 계획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 1000회째인 2011년 12월 14일 서울 종로구 일본.. 2025. 3. 12. 3·1절 3·1절(삼일절, 한국 한자: 三一節)은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3·1 운동을 기념하여 제정된 대한민국의 공휴일이자 국경일이다.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이후 1920년에 (Korean Independence Day)이라는 국경일로 지정되어 재외교포와 임시정부 및 독립운동가에 의해 그 기념이 시작되었다. 광복 이후 '1946년 3월 1일 제27회 기념식을 기해 국가 경축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10월 1일 을 공포함으로써 국경일로 재지정되었다. 이는 2005년 12월 29일 로 개정되어 지금에 이른다. 3ㆍ1운동 때 유관순, 손병희를 포함해 3000명이 참여했다. 이 날에는 정부 주최로 3부 요인은 물론 각계각층의 유명인사들이 모여 기념식을.. 2025. 3. 1. 이전 1 2 3 4 ··· 20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