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역사의식 바로세우자117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일본어: 日本国とアメリカ合衆国との間の相互協力及び安全保障条約 니혼코쿠토 아메리카 갓슈우코쿠토노 아이다노 소우고우쿄유료쿠 오요비 안젠호쇼우죠우야쿠, 영어: Treaty of Mutual Cooperation and Secur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은 일본과 미국 간의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일본에 주일 미군이 주재하는 것 등을 정한 양국 간의 조약이다. 일본에서는 쇼와 35년 조약 제6호라고도 하며, 미일(일미)안전보장조약이라고도 불린다. 1960년 1월 19일 워싱턴 D.C.에서 체결되었으며, 같은 해 6월 23일에 발효되었다. 미일 동맹의 근거 조약이다.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과 같은 날에.. 2023. 3. 13. 유관순 유관순(柳寬順, 1902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7일) ~ 1920년 9월 28일)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일제강점기에 3.1운동으로 시작된 만세 운동을 하다 일본 형사들에게 잡혀 갇힌 서대문형무소에서 이뤄진 모진 고문으로 인해 순국했다. 1916년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미국인 감리교회 선교사인 사애리시 부인(사부인)의 추천으로 이화학당 보통과 3학년에 장학생으로 편입하고, 1919년에 이화학당 고등부에 진학하였다. 3월 1일 3.1 운동에 참여하고 3월 5일의 만세 시위에도 참여하였다. 총독부의 휴교령으로 천안으로 내려와 후속 만세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가 일제에 체포되어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항소하였고,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 2023. 3. 7. 3·1절 3·1절(三一節, 영어: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은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3·1 운동을 기념하여 제정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다.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이후 1920년에 (Korean Independence Day)이라는 국경일로 지정되어 재외교포와 임시정부 및 독립운동가에 의해 그 기념이 시작되었다. 광복 이후 '1946년 3월 1일 제27회 기념식을 기해 국가 경축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10월 1일 을 공포함으로써 국경일로 재지정되었다. 이는 2005년 12월 29일 로 개정되어 지금에 이른다. 3ㆍ1운동 때 유관순, 손병희를 포함해 3000명이 참여했다. 이 날에는 정부 주최로 3부.. 2023. 3. 7. 이전 1 ··· 17 18 19 20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