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챗GPT18

EU, 세계 최초 「AI 규제법」 합의 ▶ EU, 세계 최초 「AI 규제법」 합의 – 2026년부터 본격 시행 ◀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EC)와 유럽의회, EU 27개 회원국 대표 등이 2월 2일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규제법」에 최종 합의했다. 이는 AI의 위험성을 분류하고 투명성을 강화하며,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기업에는 벌금을 부과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해당 법안은 2월 13일 유럽의회의 담당위원회 표결을 거쳐 3~4월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될 예정으로, 본격적인 시행은 2026년부터 이뤄질 전망이다. 한편, EU의 AI 규제 논의는 집행위원회가 지난 2021년 4월 법안 초안을 발의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마련된 AI 규제법은 금융·소매업·자동차·항공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AI 기술.. 2024. 9. 6.
샘 올트먼(Sam Altman) ▶ 샘 올트먼(Sam Altman) ◀ 챗GPT의 개발사 오픈AI의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38). 지난 2022년 챗GPT를 공개해 오픈AI의 급성장을 이끈 샘 올트먼이 11월 22일 오픈AI에서 해고된 지 5일 만에 복귀했다. 앞서 올트먼의 해고 발표 이후 오픈AI의 대주주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올트먼을 영입하겠다고 발표하고, 오픈AI 직원 770명 가운데 95% 이상이 그의 복귀를 요구하며 현 이사회의 해체를 요구한 바 있다. 1985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났으며, 8살 때 선물로 받은 매킨토시 컴퓨터를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2003년 스탠퍼드대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했지만 2학년 때 중퇴하고 창업의 길로 들어섰다. 그는 사용자를 주변 사람들과 이어주는 소셜미디어 앱인 「루프트(L.. 2024. 7. 9.
효율적 이타주의(EA·Effective Altruism) ▶ 효율적 이타주의(EA·Effective Altruism) ◀ 냉철한 이성으로 타인을 이롭게 하는 방법을 찾자는 것으로, 타인과 인류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이성과 증거를 기반으로 하여 추구하자는 실천윤리학 운동이다. 이는 과학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류 행복을 상승시키자는 공리주의를 기반으로 한다.  효율적 이타주의는 2013년 3월 피터 싱어 프리스턴대 석좌교수가 「효율적 이타주의의 이유와 방법」이라는 테드(TED) 강연을 통해 제창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후 실리콘밸리의 많은 거물 창업자들이 이에 동조하면서 실리콘밸리의 인공지능(AI) 산업에서 효율적 이타주의의 영향력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현재는 《냉정한 이타주의자(원제 Doing Good Better)》라는 저서를 쓴 윌리엄 맥어스킬 옥스.. 2024. 7. 8.
그록(Grok) ▶ 그록(Grok)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AI) 업체 xAI가 내놓은 첫 생성형 AI 챗봇으로, 11월 4일 공개됐다.  그록은 미국의 공상과학(SF) 작가 로버트 하인라인이 1961년 출간한 SF 소설 《낯선 땅의 이방인》에 나오는 화성인 용어로, 「무언가를 직관적으로 철저히 이해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록은 xAI가 개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 그록-1을 기반으로 구동되며, xAI에 따르면 330억 개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지만 70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메타의 라마2(LLaMA 2)와 유사한 성능을 낸다.  이는 오직 X계정으로만 가입이 가능하며 베타 서비스 기간을 거친 뒤 X의 유료 서비스인 「프리미엄 플러스(+)」 가입자(월 16달러)에 한해 공식 출시된다.  한편, 머스크는 2015.. 2024. 6. 26.
챗GPT, 《네이처》 10대 인물에 선정 ▲ 챗GPT, 《네이처》 10대 인물에 선정 ▲ ▲ 사람 아닌 기술로는 첫 선정 ▲ 과학 전문 주간지 《네이처》가 12월 14일 발표한 올해 과학계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낸 연구자 10인을 뽑은 「네이처 10」에서 오픈AI의 생성형 AI 챗봇 팻GPT가 포함됐다. 네이처는 예년처럼 10명의 과학자를 선정하면서 챗GPT를 추가로 리스트에 포함시켰는데, 네이처 10에 사람이 아닌 기술이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네이처는 챗GPT를 선정한 배경에 대해 「인간의 언어를 모방하도록 설계된 AI가 과학의 발전과 진보에서 갖는 역할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네이처는 2011년부터 매년 연말 네이처10을 발표하고 있는데, 이는 과학계에서 큰 성과를 냈거나 중요한 문제의식을 제기한 이들이 선정된다... 2024. 6. 9.
구글, 차세대 LLM 「제미나이」 공개 ▲ 구글, 차세대 LLM 「제미나이」 공개 ▲ ▲ 메타와 IBM은 AI 동맹 결성-AI 경쟁 3파전 본격화 ▲ 구글이 12월 6일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인공지능(AI)인 「제미나이(Gemini)」를 전격 공개했다. 또 빅테크 중에서 AI 후발주자로 평가되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IBM은 전날인 12월 5일 AI 관련 기업·기관 50개 이상과 AI 동맹을 결성했다. 이에 따라 챗GPT 출시 1년(11월 30일) 만에 빅테크 간 초거대 AI 경쟁 구도가 3파전(구글 vs 오픈AI vs 메타·IBM)으로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구글,  제미나이 공개 구글이 공개한 제미나이는 이미지를 인식하고 음성으로 말하거나 들을 수 있으며 코딩을 할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춘 멀티모달 AI로 만.. 2024. 6. 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