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재탐지설비의 점검
1) 수신기
수신기는 화재 발생 시 감지기,발신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을 알려주는 장치이다.
[P 형수신기 외형] [P 형 수신기 내부구조]
2) 퓨즈(Fuse)
퓨즈가 단선되면 수신기의 기능 상실을 초래한다. AC용 퓨즈 및 DC용 경종,표시등,배터리, 전원부 등에 퓨즈를 사용한다. 퓨즈가 끊어지면 퓨즈 옆에 있는 적색의 LED가 점등되는데,이때는 LOCAL 기기의 고장개소를 수리하고 퓨즈를 끼우면 LED가 소등된다.
3) 전원스위치 및 110V/220V 절환 스위치
수신기 입력전원의 ON/OFF 스위치이며,전원에 따른 110V/220V 절환 스위치이다.
[전원 스위치 및 110V/220V 절환 스위치]
4) 오동작방지기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 연기 또는 먼지 등 때문에 감지기가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다면 축적기능의 수신기를 설치하여 비화재보를 방지하여야 한다.
【오동작 방지기의 위치】
구분 | 위 치 |
|
점검시 | 오동작 방지기를 비축적 위치로 전환 | |
평상시 | 오동작방지기를 축적 위치로 전환 |
5) 스포트형 감지기 점검
⑴ 감지기 구성 및 배선 방법
*본체 • 감지부가 있는 부분
*베이스 • 천장에 고정 가능하며, 전선 연결단자 있는 부분
⑵ 감지기의 동작 확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감지기가 작동하면 점등되고,수신기에서 화재 복구 스위치를 누르면 소등된다.
감지기 동작 전 / 감지기 동작 후(램프 점등)
※감지기 작동 점검(단계별 절차)
1 단계 | 감지기 동작시험 실시 |
• 감지기 시험기, 연기 스프레이 등 이용/LED 점등 시 정상
2 단계 | LED 미점등 시 감지기 회로 전압 확인 |
• 정격전압의 80% 이상이면, 감지기가 불량이므로 감지기를 교체한다.
• 전압이 0V 이면 회로가 단선이므로 회로를 보수한다.
3단계 | 감지기 동작시험 재실시 |
6)P형 발신기 점검
⑴ 발신기 구성 및 작동 순서
☞구성 : 응답 램프. 누름 버튼. 송수화기 잭 삽입구
☞작동 순서 : 발신기의 누름 버튼을 눌렀을 때 두 접점이 동시에 붙게 되어
1. 수신기의 지구 화재 릴레이를 구동시켜 화재경보(주•지구경종, 비상방송 등)
2. 수신기의 발신기 등과 발신기의 응답 램프를 동시에 점등시킨다.
※발신기 작동 점검(단계별 절차)
1단계 | 발신기 누름버튼 누름 |
2단계 | 수신기에서 발신기등 및 발신기 응답램프 점등 확인 |
3단계 | 주경종, 지구경종, 비상방송 등 연동설비 확인 |
4단계 | 발신기의 누름버튼을 복구(빼냄), 결합 |
5단계 | 수신기에서 화재신호 복구 |
-한국소방안전원-
'1급 소방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형 수신기의 점검 (0) | 2022.09.29 |
---|---|
자동화재탐지설비 실습(p형 수신기 기능시험) (0) | 2022.09.29 |
경보설비 (1) | 2022.09.28 |
가스계 소화설비의 점검 (0) | 2022.09.27 |
물분무등소화설비 . 소화설비 (0) | 2022.09.26 |
댓글